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취대(取貸) 수호(水火)[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100 페이지 / 전적]

돈을 꾸어 쓰기도 하고 꾸어주기도 하는 것. 극히 곤란한 환경을 이르는 말.

취도(醉倒)[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6 페이지 / 전적]

술에 크게 취하여 쓰러지는 것.

취래수작무인환(醉來睡着無人喚)[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5 페이지 / 전적]

취한 중에 잠이 드니 부르는 사람도 없음.

취로(就勞)[오륜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공사에 종사함.

취로(就勞)[가사소리 11 페이지 / 전적]

공사에 종사함.

취리건곤 호중일월(醉裏乾坤 壺中日月)[회경가 4 페이지 / 전적]

술에 취하니 하늘과 땅이 크고, 항아리 속의 해와 달이 길어진다는 뜻으로 마음껏 술을 마시고 크게 취해보자는 뜻임

취리건곤(醉裏乾坤)[한흥가라 86 페이지 / 전적]

크게 취한 가운데로 우주가 내 품에 안김.

취리건곤(醉裏乾坤)[한양가라 85 페이지 / 전적]

술에 취해 있는 동안 하늘과 땅을 구분못할 정도로 어지러운 상태.

취모(吹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 페이지 / 전적]

「吹帽」-落帽와 같은 말임. 晋書孟嘉傳에『孟嘉가 桓溫의 㕘軍이 되었는데 九月九日에 桓溫이 龍山에 노닐자 僚佐들이 모두 모였다. 때마침 바람이 불어 孟嘉의 帽子를 떨어뜨렸는데 嘉는 모르고 있으므로 溫은 孫盛을 시켜 글을 지어 嘉를 嘲했

취모멱자(吹毛覓疵)[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털 사이를 불어가면서 흠을 찾는다’는 뜻으로, ‘남의 결점을 억지로 낱낱이 찾아내는 것’을 말함.

취몽(醉夢)[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여 자는 꿈.

취몽(醉夢)[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여 자는 꿈.

취몽(醉夢)[말이타국원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취방(取房)[거창가 14 페이지 / 전적]

재물을 수취(收取)한다는 의미에서 쓴 말.

취방(取房)[거창가 14 페이지 / 전적]

재물을 수취(收取)한다는 의미에서 쓴 말.

취방(取房)[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재물을 수취(收取)한다는 의미에서 쓴 말.

취방(取房)[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재물을 수취(收取)한다는 의미에서 쓴 말.

취벽(翠壁)[ 1 페이지 / ]

푸른 절벽

취병(就病)[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5 페이지 / 전적]

병석에 나아가다.

취병림(翠屛林)[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취병(翠屛)은 '비취색 병풍'이라는 뜻으로 살아 있는 나무를 사용해 만드는 생(生)울타리이자 궁궐의 핵심지역과 일부 상류층의 정원에만 사용된 친환경 담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