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타거(他居)[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다른 곳에 있게 됨.

타관(他官)[청춘사업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타향살이.

타관(他官)[리행소챙가 71 페이지 / 전적]

타향, 타고을.

타관(他官)[청춘사업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타향살이.

타관(他官)[말이타국원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가 나서 자란 곳이 아닌 다른 지역이나 고장.

타국생민(他國生民)[가사소리 6 페이지 / 전적]

다른 나라의 살아 있는 백성.

타기사지(惰其四支)[양친가(養親歌) 8 페이지 / 전적]

‘사지’는 사람의 두 팔과 두 다리, 즉 사체(四體)를 말하므로 그 몸을 게을리한다는 뜻

타기황앵(打起黃鶯)[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가 울음소리를 내다.

타기황앵(打起黃鶯)[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꾀꼬리가 울음소리를 내다.

타기황앵(打起黃鶯)하는 아희들은 막교지상(莫敎枝上) 울지 마라[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때부터 알려진 작자 미상의 <이주가(伊州歌)> 기․승구를 인용한 사설로서, ‘꾀꼬리를 쳐 일으키는 아이들아 나뭇가지 위에서 울지 못하게 하여다오’라는 뜻. 임을 그리는 간절한 술회를 담은 <이주가> 원문은 이와 같다. 打起黃鶯兒 莫敎枝上啼 啼時覺妾夢 不得到遼西

타기황앵아(打起黃鶯兒)[구쟉가 10 페이지 / 전적]

어린 까마귀새를 치다.

타났으니[뎡슝샹회방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타고 나왔으니.

타났으니[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태어났으니.

타도타관(他道他官)[권학가 3 페이지 / 전적]

다른 도와 다른 고을.

타도타지(他道他地)[경노의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타도타관(他道他官)’과 같은 뜻으로 자신이 속한 곳이 아닌 다른 도와 다른 고을을 말함.

타도타향(他道他鄕)[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0 페이지 / 전적]

다른 고을과 다른 고향.

타라[두껍전이라(겁젼이라) 17 페이지 / 전적]

가르라.

타라[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7 페이지 / 전적]

가르라.

타락(駝酪)[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타락죽(駝酪粥). 타락죽은 곱게 간 쌀가루를 우유와 섞어 끓여 만들며, 우유죽이라고도 부름. 우유로 만든 타락죽은 귀한 음식 중의 하나로, 왕이 병에 걸렸을 때 원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먹는 등 특별한 경우에 먹는 보양식.

타락(駝酪)[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1 페이지 / 전적]

타락죽(駝酪粥). 타락죽은 곱게 간 쌀가루를 우유와 섞어 끓여 만들며, 우유죽이라고도 부름. 우유로 만든 타락죽은 귀한 음식 중의 하나로, 왕이 병에 걸렸을 때 원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먹는 등 특별한 경우에 먹는 보양식.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