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탁립(卓立)[그리져리구경하고 10 페이지 / 전적]

여럿 가운데서 우뚝하게 서 있음.

탁마(琢磨)[권왕가 53 페이지 / 전적]

① 옥이나 돌을 쪼고 가는 것. ② 학문이나 덕행을 닦는 것.

탁명(坼名)[초당의 봄꿈 8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한 사람의 봉미(封彌)를 임금 앞에서 뜯던 일.

탁명(托名)[흥비가 4 페이지 / 전적]

이름을 올림.

탁명(託名)[흥비가 3 페이지 / 전적]

이름을 의지하여 맡김.

탁문군(卓文君)[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상마상여가 <봉구황곡>을 지을 정도로 사랑했던 구애의 대상 인물.

탁문군(卓文君)[오윤가 24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시대에 사마상여가 탁왕손의 딸 탁문군이 청상이 된 사연을 익히 알고 그녀를 위해 <鳳求皇>이라는 노래를 지었음.

탁문군(卓文君)[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거상 탁왕손(卓王孙)의 딸. 16세에 출가하였으나 몇 년 후 남편이 죽어 과부가 되었다. 친정으로 돌아와 기거하던 중 부친의 연회에 초청받은 사마상여의 금 연주에 감동하여 당일 밤 사마상여와 함께 성도(成都)로 도주하였다.

탁문군(卓文君)[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거상 탁왕손(卓王孙)의 딸. 16세에 출가하였으나 몇 년 후 남편이 죽어 과부가 되었다. 친정으로 돌아와 기거하던 중 부친의 연회에 초청받은 사마상여의 금 연주에 감동하여 당일 밤 사마상여와 함께 성도(成都)로 도주하였다.

탁문군(卓文君)[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0 페이지 / 두루마리]

탁문군(卓文君). 중국 서한(西漢) 대 촉(蜀)의 부호(富豪) 탁왕손(卓王孫)의 딸로 사마상여(司馬相如)와의 사랑 이야기가 유명함. 가도사벽(家徒四壁).

탁문군(卓文君)[쥭매곡(쥭곡) 4 페이지 / 전적]

서한(西汉)시기 한부(汉赋)의 대표적인 작가 사마상여(司马相如)의 아내.

탁문군(卓文君)의 맑은 지음(知音)[상사가라 9 페이지 / 전적]

탁문군(卓文君)이 사람을 알아보는 지혜. 탁문군(卓文君)은 한나라 탁왕손의 딸로 음악을 좋아했는데, 익주에 살다가 사마상여가 타는 「봉구황곡(鳳求凰曲)」의 거문고 소리에 반하여, 밤에 몰래 집을 도망쳐 나가 사마상여의 아내가 되었음.

탁발직구(擢髮織屨)[양친가(養親歌) 3 페이지 / 전적]

머리를 자르고 신을 엮어 내다

탁사탁족(濁斯濯足) 청탁영(淸濯纓)은 자취지화(自取之化)[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이는 원래 굴원(屈原)의 <초사(楚辭)>에서 나온 말로,

탁사탁족(濁斯濯足) 청탁영(淸濯纓)은 자취지화(自取之化)[원시가(源時歌) 1 페이지 / 전적]

이는 원래 굴원(屈原)의 <초사(楚辭)>에서 나온 말로,

탁셩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7 페이지 / 전적]

탁성(性)하여. 성질을 닮아. 성질을 타고나. ‘외(外)탁하여’와 같은 말인 듯.

탁신(託身)[녁대가(녁가) 27 페이지 / 전적]

남에게 몸을 의탁함.

탁연(卓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8 페이지 / 전적]

여럿 중에서 높이 뛰어나 의젓한 모양, 탁월한 모양.

탁연(卓然)[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8 페이지 / 전적]

여럿 중에서 높이 뛰어나 의젓한 모양, 탁월한 모양.

탁영(濯纓)[초당춘수곡 4 페이지 / 전적]

갓끈을 씻는다는 뜻으로 세속을 초월함을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