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탄광음지(嘆光陰之)[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는 시간을 한탄하다.

탄광음지여류(嘆光陰之如流)[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세월은 흐르는 물과 같아, 한번 가면 되돌아오지 않음을 탄함.

탄금대(彈琴臺)[팔도안희가 9 페이지 / 전적]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에 있는 명승지로 임진왜란 때 무장 신립(申砬)이 8,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군대를 맞아 격전을 치른 전적지이기도 하다.

탄금대(彈琴臺)[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충청북도 충주시 서북부 대문산(大門山)에 있는 명승지. 우륵이 제자들을 가르치며 가야금을 타던 곳이다. 임진왜란의 전적지(戰跡地)이며, 신입이 전사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탄금대(彈琴臺)[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충청북도 충주시 북서부 대문산(大門山)에 있는 명승지. 신라 때 우륵(于勒)이 제자들을 가르치며 가야금을 타던 곳이다. 임진왜란의 전적지(戰跡地)로 유명하다.

탄금대(彈琴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5 페이지 / 전적]

충북(忠北) 충주시 북서쪽(北西-) 4km지점(地點)에 있는 명승지(名勝地). 우륵(于勒)이 즐겨 가야금을 타던 곳이라고 전(傳)하여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신립 장군(將軍)이 왜장 코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싸워 전사(戰死)한 전쟁터(戰爭-)임. 부근(附近)에 개원사(開元寺)가 있음.

탄금성(彈琴聲)[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거문고ㆍ가야금 등을 타는 소리.

탄렬(綻裂)[사친가(事親歌) 36 페이지 / 전적]

옷이 터져 찢어짐.

탄렬(綻裂)[자직가(子職歌) 1 페이지 / 전적]

옷이 터져 찢어짐.

탄막(炭幕)[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골 길가에서 밥과 술 등을 팔고 나그네에게 잠자리도 제공하는 집.

탄막(炭幕)[팔도가 5 페이지 / 전적]

숯막.

탄막(炭幕)[팔도가 5 페이지 / 전적]

숯막.

탄막(炭幕)[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주막, 혹은 숯을 굽는 막.

탄복(歎服)[리행소챙가 61 페이지 / 전적]

깊이 감탄하여 마음으로 따름.

탄복(歎服)[한양가라 20 페이지 / 전적]

매우 감탄하여 마음으로 따름.

탄복(歎服)[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7 페이지 / 전적]

깊이 감탄(感歎)하여 심복(心腹)함, 감탄(感歎)하여 마음으로 따름.

탄복(歎服)[연행별곡(연별곡) 27 페이지 / 전적]

깊이 감탄(感歎)하여 심복(心腹)함, 감탄(感歎)하여 마음으로 따름.

탄복랑(坦腹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4 페이지 / 전적]

「坦腹郞」―晋 郗鑑이 門生으로 하여금 사윗감을 王氏집안에 고르게 하자 王氏의 子弟들은 모두 스스로 矜持하는데 유독 羲之는 坦腹하며 東牀에 누웠었다. 鑑은「이야말로 좋은사위다」말하고서 딸을 그에게 주었음. 世說에 보임. 俗稱이 사위를 坦이라 함은 이에 근본되었음.

탄상(歎賞)[옥산가라 33 페이지 / 전적]

탄복하여 몹시 칭찬함.

탄성(嘆聲)[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1 페이지 / 전적]

탄식하는 소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