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탐탐(耽耽)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5 페이지 / 전적]
탐탐자의(耽耽慈意). 마음에 들어 즐거고 자비로운 마음.
탐탐관루[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탐탐관류. 탐탐한 관류(貫流). 마음에 들어 하는 탐탁한 마음을 넉넉하게 내보이며.
탐탐별회(耽耽別懷)[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3 페이지 / 전적]
즐거운 특별한 마음.
탐탐신우(耽耽信友)[리행소챙가 73 페이지 / 전적]
믿음이 가는 친구와 매우 즐겁게 노는 것.
탐탐정회(耽耽情懷)[충행단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한 사랑하는 마음
탐탐히[운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에 들어 매우 즐거운.
탐탐나[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탐탐(耽耽)하나. 마음에 들어 즐거우나.
탐화(探花)[청춘사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을 찾아나섬.
탐화봉접(探花蜂蝶)[소년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을 찾아 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에서, 여색(女色)을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比喩)로 이르는 말.
탐화봉접(探花蜂蝶)[소년애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을 찾아 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에서, 여색(女色)을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比喩)로 이르는 말.
탐화봉접(探花蜂蝶)[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을 찾아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으로, 사랑하는 여자를 그리워하여 찾아가는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탐화봉접(探花蜂蝶)[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꽃을 찾아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으로, 사랑하는 여자를 그리워하여 찾아가는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탐화봉접(探花蜂蝶)[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꽃을 찾아다니는 벌과 나비라는 뜻으로, 사랑하는 여자를 그리워하여 찾아가는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탐화봉접(探花蜂蝶)[제주여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을 찾아 다니는 벌과 나비.
탑(塔)[석천집(石川集二-四)2-4 41 페이지 / 전적]
원문의 『支提』는 불강의 탑을 뜻함. <雜心經>:『有舍利名塔,無者名支提.』
탑(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7 페이지 / 전적]
「下榻」―賓客을 優待하는 데에 쓰는 用語로 豫章太守 陳蕃과 徐孺字의 故事에 依據한 것임. 王勃膝王閣序에「人傑地靈 徐孺下蕃之榻」이라 했음.
탑동공원(塔洞公園)[셔유곡 13 페이지 / 전적]
서울 종로 2가 북편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 탑공원(塔公園), 탑골공원, 파고다공원이라고도 불림.
탑사(塔寺)[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절. 불당(佛堂).
탑암榻巖[ 1 페이지 / ]
평상 바위
탑전(塔前)[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7 페이지 / 전적]
탑 앞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