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04개

탁영가파정주정(濯纓歌罷汀洲靜)하니[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4 페이지 / 전적]

「탁영가(濯纓歌)」 부르는 것이 끝나자 모래섬은 조용하니. 「탁영가(濯纓歌)」는 굴원(屈原)이 지은 「어부사(漁父辭)」의 끝 부분에 실려 있는 어부가 불렀다는 노래를 따로 일컫는 곡명임.

탁영담(濯纓潭)[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낙동강 상류에서 흘러내리던 강물이 도산서당이 있는 언덕에 이르러 커다란 호수를 이루었는데 퇴계선생은 그 소를 탁영담(濯纓潭)이라고 불렀음.

탁영담(濯纓潭)[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낙동강 상류에서 흘러내리던 강물이 도산서당이 있는 언덕에 이르러 커다란 호수를 이루었는데 퇴계선생은 그 소를 탁영담(濯纓潭)이라고 불렀음.

탁이지행(卓異之行)[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남보다 뛰어난 행동.

탁이지행(卓異之行)[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남보다 뛰어난 행동

탁족탁면(濯足濯面)[칠녀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발을 씻고 얼굴을 씻음.

탁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9 페이지 / 전적]

「乃賢乃聖」- 술을 말함.淸酒는 聖이라 이르고 濁酒는 賢이라이름.杜甫의 飮中八仙歌에「含孟樂聖稱避賢」이라 하였음.

탁주(濁酒)[허후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막걸리.

탁주(濁酒)[기수가 3 페이지 / 전적]

막걸리.

탁주잔(濁酒盞)[노정가라(노졍기라) 14 페이지 / 전적]

막걸리를 담는 잔.

탁지(度支)[송강집(松江集一)1 138 페이지 / 전적]

국가(國家) 전반에 걸쳐 재정(財政) 조세(租稅) 국채(國債)등에 관한 사무 일체를 관장하는 관직.

탁지부(度支部)[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3 페이지 / 전적]

또 탁지부(度支部)112)에 명령하시어

탁지아문(度支衙門)[심심가(尋心歌) 3 페이지 / 전적]

구한말에 둔, 재정(財政)을 맡아보던 중앙 관아. 고종 31년(1894)에 호조를 없애고 새로 둔 것으로, 1895년에 탁지부로 고쳤음.

탁지아문(度支衙門)[심심가(尋心歌) 3 페이지 / 전적]

구한말에 둔, 재정(財政)을 맡아보던 중앙 관아. 고종 31년(1894)에 호조를 없애고 새로 둔 것으로, 1895년에 탁지부로 고쳤음.

탁혜(蘀兮)[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마른 낙엽이여.

탄강(誕降)[궁장가(宮墻歌) 3 페이지 / 전적]

하늘에서 세상에 내린다는 뜻으로 임금이나 성인(聖人)이 세상에 태어남을 이르는 말.

탄강(誕降)[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나 성인(聖人)이 탄생함.

탄관(彈冠)[수연가(수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관의 먼지를 턴다는 뜻으로 관리가 될 준비를 비유함. 여기서는 관을 쓴 손님을 말함.

탄관(彈冠)[수연가(수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관의 먼지를 턴다는 뜻으로 관리가 될 준비를 비유함. 여기서는 관을 쓴 손님을 말함.

탄광음지(嘆光陰之)[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가는 시간을 한탄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