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향촌(鄕村)[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4 페이지 / 전적]

시골. 또는 태어나서 자라난 고향 마을.

향풍(香風)[금강산유람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향기로운 바람.

향풍香風[ 1 페이지 / ]

향기로운 바람

향합(香盒)[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4 페이지 / 전적]

제사 때 피우는 향을 담는 합으로 사기, 놋쇠, 나무 따위로 동글납작하게 만드는데 위아래 짝으로 되어 있다.

향합촉대(香盒燭臺)[로인가 13 페이지 / 전적]

제사 때 피우는 향을 담는 합과 촛대.

향화(香火)[효자가 11 페이지 / 전적]

향불. 즉 제사를 말함

향화(香火)[그리져리구경하고 30 페이지 / 전적]

향불. 제사.

향화(香火)[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제사(祭祀).

향화(香火)[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제사(祭祀).

향화(香火)[운청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제사'를 이르는 말.

향화(香華)[자책가(가) 12 페이지 / 전적]

부처님 앞에 바치는 향(香)과 꽃.

향화주(香花酒)[춘몽가(츈몽가) 40 페이지 / 전적]

목련꽃으로 이용하여 담근 술로 화향을 목적으로 담근 화향주.목련주.

향화주(香花酒)[춘몽가(츈몽가) 40 페이지 / 전적]

목련꽃으로 이용하여 담근 술로 화향을 목적으로 담근 화향주.목련주.

향회(嚮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7 페이지 / 전적]

「嚮晦」― 易 隨의 隊象에 「君子以 嚮晦入安息」이라 했는데, 이는 대개 君子가 낮에는 自强不息하다가 昏晦로 행하게 되면안으로 들어가 그 몸을 安息하며 起居가 때를 따라서 편의를 취한다는 뜻임.

향회(鄕會)[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고을의 일을 의논하기 위한 고을 사람들의 모임.

향흔(香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6 페이지 / 전적]

「香痕一派」―典據가 未詳함.

향을[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향사(享祀)를. 제사를.

허 자(許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8 페이지 / 전적]

「許孜」―晋人 許孜는 親이 歿하자 몸소 負土하여 墳을 이루고 주위에 松柏을 심었는데 羣鹿이 몰려와 그 심은 솔을 觸傷하니 孜는 슬퍼하며 「鹿은 유독 나를 생각해 주지 않는가」말했다. 明日에 보니 그 鹿이 猛獸에게 殺害되어 심은 솔아래 있었다.

허(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2 페이지 / 전적]

「賈生耽虛」―漢 賈

허(虛)[한양가라 6 페이지 / 전적]

비어 있거나 약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