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허(許)[옥산가라 31 페이지 / 전적]

그 거리쯤 되는 곳, 또는 그 시간쯤 걸리는 곳이라는 뜻을 더해 주는 접미사.

허견(許堅)[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9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문신(?~1680). 남인의 우두머리로, 1680년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 등과 모의하여 복선군을 내세우려다가 서인 김석주(金錫胄)의 고변(告變)으로 살해당하였다.

허공虛空)[권왕가 35 페이지 / 전적]

모양과 빛이 없는 상태.

허공계(虛空界)[권왕가 33 페이지 / 전적]

텅 빈 공중의 세계.

허공주천(虛空朱天)[가야희인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텅 빈 하늘. 공중.

허공중천(虛空中天)[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텅빈 하늘 한 복판.

허교하고[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자기와 벗으로 사귀는 것을 허락하고 사귄다는 뜻.

허교하고[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자기와 벗으로 사귀는 것을 허락하고 사귄다는 뜻.

허균(許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문신ㆍ소설가(1569~1618).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ㆍ성소(惺所)ㆍ학산(鶴山)ㆍ백월거사(白月居士). 서자를 차별 대우 하는 사회 제도에 반대하였으며, 광해군의 폭정에 항거하기 위하여 서인을 규합하여 반란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참형을 당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었으며, 시문집으로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등이 있다.

허급(許給)[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요구하거나 베풀어 달라는 것을 허락하여 줌

허급(許給)[오륜가라 35 페이지 / 전적]

달라는 대로 허락하여 베풀어 줌.

허기(虛飢)[자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굶어서 배고픈 느낌.

허기(虛飢)[자치가라 21 페이지 / 두루마리]

굶어서 몹시 배가 고픈 느낌.

허기(虛飢)[소상팔경가 21 페이지 / 전적]

배고픔.

허기(虛飢)[자치가 23 페이지 / 전적]

배고픔.

허노재(許魯齋)[ 1 페이지 / ]

노재는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허형(許衡)의 호. 그는 특히「소학」을 신봉하여 ‘나는 소학을 신명(神明)처럼 신봉하고 부모처럼 공경한다.‘하였다.

허노재(許魯齋)[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14 페이지 / 전적]

노재는 원(元) 나라 때의 학자인 허형(許衡)의 호. 그는 특히「소학」을 신봉하여 ‘나는 소학을 신명(神明)처럼 신봉하고 부모처럼 공경한다.‘하였다.

허다[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많은.

허다[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많은.

허다[망부가 16 페이지 / 전적]

많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