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허명기상 담연하다[낙지가 8 페이지 / 전적]

울창한 나무숲에 밤이 오면 은근히 밝은 기운이 산뜻하다.

허명무실(虛名無實)[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허명무실(虛名無實)[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6 페이지 / 전적]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허목(許穆)[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문신ㆍ학자(1595~1682). 자는 문보(文甫)ㆍ화보(和甫). 호는 미수(眉叟). 제자백가와 경서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다. 저서에 ≪경설(經說)≫, ≪동사(東事)≫ 따위가 있다.

허무리[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허물이. 잘못이.

허무적멸(虛無寂滅)[역대삼재가라 6 페이지 / 전적]

생사(生死)의 경지(境地)를 초월(超越)한 상태(狀態). 도교(道敎)의 허무(虛無)와 불교(佛敎)의 적멸(寂滅).

허무지설(虛無之說)[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쓸데없는 말.

허무지설(虛無之說)[창덕가2 80 페이지 / 전적]

쓸데없는 말.

허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3 페이지 / 전적]

「怨尤」―休怨尤는 하늘을 원망하거나 사람을 허물하지 말라는말임.

허믈랴[ 1 페이지 / ]

허물을 들어 꾸짖으랴.

허방[회심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움푹 팬 땅.

허배(虛拜)[회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신위에게 절을 하는 것.

허배(虛拜)[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위(神位)에 하는 절.

허배(許拜)[일회심곡(一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허배(虛拜)를 잘못 쓴 것임. 신위에 절을 함.

허봉(許篈)[한흥가라 65 페이지 / 전적]

본관 양천(陽川). 자 미숙(美叔). 호 하곡(荷谷).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의 형.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가서 《하곡조천기(荷谷朝天記)》를 썼다. 동인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 등 서인들과 대립하였다. 병조판서 이이를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되었으며 이후 재기용되나 거절하고, 유랑하다가 병사하였다. 편저에 《의례산주》,《해동야언》 등이 있다.

허봉(許篈)[한흥가라 65 페이지 / 전적]

본관 양천(陽川). 자 미숙(美叔). 호 하곡(荷谷).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의 형.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가서 《하곡조천기(荷谷朝天記)》를 썼다. 동인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 등 서인들과 대립하였다. 병조판서 이이를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되었으며 이후 재기용되나 거절하고, 유랑하다가 병사하였다. 편저에 《의례산주》,《해동야언》 등이 있다.

허봉(許篈)[한흥가라 65 페이지 / 전적]

본관 양천(陽川). 자 미숙(美叔). 호 하곡(荷谷). 유희춘(柳希春)의 문인.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의 형.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가서 《하곡조천기(荷谷朝天記)》를 썼다. 동인의 선봉이 되어 심의겸 등 서인들과 대립하였다. 병조판서 이이를 탄핵하였다가 갑산(甲山)에 유배되었으며 이후 재기용되나 거절하고, 유랑하다가 병사하였다. 편저에 《의례산주》,《해동야언》 등이 있다.

허봉(許篈)[한양가라 64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51-1588)으로 문장으로 이름났으며, 최초의 한글소설

허비(虛憊)[신힁가라 25 페이지 / 전적]

기운이 없어 고달픔.

허비(虛費)[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6 페이지 / 전적]

쓸 데 없는 비용(費用)을 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