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허위(虛僞)[명륜가(明倫歌) 6 페이지 / 전적]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처럼 꾸민 것.
허위허위[반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힘들어 하는 모양. 또는 팔다리를 자꾸 이리저리 내젓는 모양.
허위허위[가사소리 14 페이지 / 전적]
① 손발 따위를 이리저리 내두르는 모양.② 힘에 겨워 힘들어하는 모양.
허위허위[연행별곡(연별곡) 6 페이지 / 전적]
①손발 따위를 이리저리 내두르는 모양.②힘에 겨워 힘들어하는 모양.
허유(許由)[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상 인물. 요(堯)임금이 그에게 천하를 주겠다고 말하자, 그는 더러운 말을 들었다고 하여 영수(潁水) 강에서 귀를 씻고 기산(箕山)에 은둔하였다고 전 함.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巢父’로 되어 있으나 이는 ‘許由’의 오기임.
허유(許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0 페이지 / 전적]
「許由」-上古의 高士로서 沛澤에 隱居하니, 堯는 天下로써 讓하였으나 받지 아니하고 도망하여 中岳 潁水의 陽 箕山의 아래서 밭을 갈았다. 堯가 또 불러서 九州長을 삼으려고 하니허유는 듣고싶지 않아서 潁水의 물가에 나가 귀를 씻었다. 죽은 뒤에 箕山의 마루에 장사하고 堯는 그 墓에 나아가 箕山公神이라 이름하여 五岳에 配食케 하였다.
허유(許由)[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각주 127 참조.
허유(許由)[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각주 127 참조.
허유(許由)[옥산가라 54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인물(?~?). 자는 무중(武仲). 요임금이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으나 받지 않고 도리어 자신의 귀가 더러워졌다고 하여 잉수이(潁水) 강 물에 귀를 씻고 지산(箕山) 산에 들어가서 숨었다고 함.
허유(許由)[녁대가(녁가) 11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인물. 요임금이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으나 받지 않고 도리어 자신의 귀가 더러워졌다고 하여 영수(潁水) 물에 귀를 씻고 기산(箕山)에 들어가서 숨었다고 함.
허적(許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문신(1610~1680). 자는 여차(汝車). 호는 묵재(默齋)ㆍ휴옹(休翁). 남인(南人)의 우두머리로 권력을 잡았으며, 1678년에 상평통보를 만들어 사용하게 하였다. 뒤에 서자(庶子) 견(堅)의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살해되었다.
허적(許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 호조판서·병조판서를 지내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올랐다. 인선대비가 죽어 자의대비의 제2차 복상문제에서 기년설을 주장하여 채택되고, 송시열의 처벌문제에서 온건론을 펴 탁남(濁南)의 영수가 되어 집권자가 되었다.
허정(許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9 페이지 / 전적]
정치가(1896~1988). 호는 우양(友洋). 3ㆍ1 운동에 참가한 후에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였다. 광복 후에 3ㆍ15 부정 선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이승만 대통령을 이어 과도 내각 수반을 지냈다. 저서에 ≪내일을 위한 증언≫ 따위가 있다.
허조[팔역가(八域歌) 22 페이지 / 전적]
세종 때의 문신으로 시호는 문경
허좌虛坐[ 1 페이지 / ]
음식을 취하지 않고 속을 비우고 앉아 있는 것
허준(許浚)[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명의(名醫)(1539~1615).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어의(御醫)로 있으면서 선조의 명으로 의서 편찬에 착수하여 1610년에 ≪동의보감≫ 25권을 완성하였으며, 각종 의서를 국역하였다.
허중유실(虛中有實)[궁을가 4 페이지 / 전적]
허 중에 실이 있다.
허중유실(虛中有實)[불도가 2 페이지 / 전적]
허 중에 실이 있다.
허중유실(虛中有實)[선도가 2 페이지 / 전적]
허 중에 실이 있다.
허중유실(虛中有實)[안심경찰가 7 페이지 / 전적]
비어 있는 듯 하면서도 실속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