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하운(夏雲)이 다기봉(多奇峰)하니[슈양가 4 페이지 / 전적]

여름날 구름이, 많은 기이한 봉우리를 이룸. 진(晉)나라 문인인 도잠(陶潛)의 시 「사시(四時)」의 한 구절.

하운기봉(夏雲起峰)[금강산유람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를 이룸. 중국 진(晉)나라의 문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시(四時)>의 한 구절임.

하운다기봉[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도연명의 시 <사시>의 승구. 春水滿四澤 夏雲多奇峰 秋月揚明輝 冬嶺秀孤松.

하운다기봉(夏雲多奇峯)[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여름 하늘의 구름이 기이한 산봉우리처럼 솟아 있음을 형용한 말. 중국 진(晋)나라 도잠(陶潛)의 시라 하여 전하는 <사시(四時)>에서의 인용임.

하운다기봉(夏雲多奇峰)[창덕가2 99 페이지 / 전적]

여름 구름은 기이한 산봉우리에 가득하네.

하운다기봉(夏雲多奇峰)[창덕가2 100 페이지 / 전적]

여름 구름은 기이한 산봉우리에 가득하네.

하원갑(下元甲)[용담가 6 페이지 / 전적]

운이 다하여 망해가는 시대를 이르는 말.

하원갑(下元甲)[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2 페이지 / 전적]

운이 다하여 망해가는 시대를 이르는 말.

하원갑(下元甲)[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7 페이지 / 전적]

운이 다하여 망하여 가는 시대.

하원갑(下元甲)[도슈샤 1 페이지 / 전적]

운이 다하여 망하여 가는 시대.

하원갑(下元甲)[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운이 다하여 망하여 가는 시대.

하월하시(何月何時)[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달 어느 때.

하월하시(何月何時)[칠여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달 어느 날.

하월하시(何月何時)[화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달 어느 날에. 기약이 없는 것

하위지(河緯地)[한양가라 23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학자(1412~1456)로 사육신의 한 사람. 세조 2년(1456)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당하였다.

하위지(河緯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4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1412~1456), 자는 천장(天章)·중장(仲章), 호는 단계(丹溪)·연풍(延風)이다. 벼슬은 부제학·예조 판서에 이르렀다.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세조 2년(1456)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당하였다.

하유(下諭)[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2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원에게 상경을 명하는 왕명.

하유(下諭)[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36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원에게 상경을 명하는 왕명.

하육(下肉)[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쇠고기의 사태, 홍두깨살, 꼬리, 족, 송치, 도가니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하은삼대(夏殷三代) 손익(損益)[신정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하은(夏殷)시대의 문물제도(文物制度) 중에서 덜 것은 덜고 더 보탤 것은 보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