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하처불상봉(何處不相逢)[타령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경행록에 나오는 글. 언제 어디에서든지 만날 수 있음.

하처청청(何處淸淸) 하처탁(何處濁)[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어느 곳이 깨끗하며 어느 곳이 더러운가.

하처청청(何處淸淸) 하처탁(何處濁)[원시가(源時歌) 1 페이지 / 전적]

어느 곳이 깨끗하며 어느 곳이 더러운가.

하처친붕(何處親朋)[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한 벗이 어디에 있어.

하처친붕(何處親朋)[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친한 벗이 어디에 있어.

하천(諕天)[고분가 18 페이지 / 전적]

하늘을 향해 울부짖다.

하천(諕天)[고분가 18 페이지 / 전적]

하늘을 향해 울부짖다.

하청(河淸)[션화안논새가(션화안논가) 4 페이지 / 전적]

황하(黃河)의 물이 맑아짐'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하려고 해도 실현(實現)되지 않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하초(下焦)[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8 페이지 / 전적]

삼초(三焦)의 하나. 배꼽 아래에 해당되며 신장, 방광, 대장, 소장 등의 장기(臟器)가 포함된 부분.

하탕(下湯)[백발가(白髮歌) 10 페이지 / 전적]

온천 가운데 가장 온도가 낮은 탕.

하패(霞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1 페이지 / 전적]

「霞佩」 ― 仙人의 服飾을 말함.

하품 왕생(下品往生)[권왕가 36 페이지 / 전적]

구품 정토(九品淨土)의 하품이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것. 하품(下品) : 구품 정토(九品淨土)의 하위의 세 품. 왕생(往生) : 앞에 든 각주 204 참조.

하하농주(河鰕弄珠) 금채괘벽(金釵掛壁)[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8 페이지 / 전적]

바닷게를 잡는 어부가 구슬을 희롱함.

하해(河海)[츅친서라 1 페이지 / 전적]

큰 강과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하해(河海)[오윤가 9 페이지 / 전적]

큰 강과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하해(河海)[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넓고 큰 강과 바다.

하해(河海)[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큰 강과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하해(河海)[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큰 강과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하해(河海)[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넓고 큰 강과 바다.

하해(河海)[한양가라 57 페이지 / 전적]

큰 강과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