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시대에 있었던 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왕조. 이 시기는 덕화(德化)에 의한 왕도(王道) 정치가 실시되었던 이상적인 태평성대임.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시대에 있었던 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왕조. 이 시기는 덕화(德化)에 의한 왕도(王道) 정치가 실시되었던 이상적인 태평성대임.
하은주(夏殷周) 삼대지덕(三代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 시대에 있었던 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왕조의 덕(德). 이 시기는 덕화(德化)에 의한 왕도(王道) 정치가 실시되었던 이상적인 태평성대임.
하은주(夏殷周) 삼대지덕(三代之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上古) 시대에 있었던 하(夏)ㆍ은(殷)ㆍ주(周) 3대 왕조의 덕(德). 이 시기는 덕화(德化)에 의한 왕도(王道) 정치가 실시되었던 이상적인 태평성대임.
하의 도인(荷衣道人)[석천집(石川集二-五)2-5 126 페이지 / 전적]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이 스스로 일컫은 자호(自號).
하의(何意)[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4 페이지 / 전적]
무슨 뜻.무슨 일.
하의(荷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8 페이지 / 전적]
「荷製霓裳」―荷衣는 儒者의 服이니 陶淵明을 말한 것이요, 霓裳은 道士의 服이니 陸修靜을 말한 것임. 이 다음에 나오는虎溪의 주석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
하의(荷衣)[석천집(石川集二-三)2-3 11 페이지 / 전적]
연잎으로 만든 옷으로 고결한 은자(隱者)가 입은 옷을 가리킴. 여기서는 석천 임억령 자신을 가리킴. 그의 자호가 하의도인(荷衣道人).
하의(荷衣)[석천집(石川集二-五)2-5 121 페이지 / 전적]
연(蓮) 잎으로 엮은 옷. 은자(隱者)의 옷. 세속을 벗어난 훌륭한 사람의 옷에 비유함. 임억령은 스스로 하의, 또는 하의거사(居士)라 하였다.
하의거사[석천집(石川集二-四)2-4 102 페이지 / 전적]
임억령의 자호
하의급우(夏宜急雨)[원유가 5 페이지 / 전적]
여름 날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
하일(何日)[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날. 무슨 날.
하일(何日)[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날. 무슨 날.
하일(何日)[셔유곡 21 페이지 / 전적]
어느 날. 또는 무슨 날.
하일하시(何日何時)[환행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날 어느 때.
하일하시(何日何時)[환행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어느 날 어느 때.
하자(瑕疵)[여행록이라(여녹이라) 21 페이지 / 전적]
티와 흠.
하전공론(下傳空論)[남여동락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전해지는 이야기에 대한 실속 없는 빈 논의.
하전공론(下傳空論)[남여동락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전해지는 이야기에 대한 실속 없는 빈 논의.
하절(夏節)[나부가라(라부가라) 12 페이지 / 전적]
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