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학가[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29 페이지 / 전적]
왕세자의 행차. 중국 주나라 영왕의 태자 진晉이 백학을 타고 신선이 되어 갔다는데서 유래함.
학가산[후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안동 지역에 있는 산.
학가산(鶴駕山)[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경북 안동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882미터이다.
학가산(鶴駕山)[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과 안동시 북후면·서후면의 경계에 위치한 산. 높이 882m. 보문산(普門山:643m)과 함께 예천군의 동부산지를 형성함.
학구[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학교(學校).
학구[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학교(學校).
학궁(學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3 페이지 / 전적]
「辟雍」- 天子가 設立한 大學을 말함. 詩經 大雅 靈臺에「於樂辟雍 於論鼓鍾」의 글구가 있음.
학궁(學宮)[아림가(娥林歌) 34 페이지 / 전적]
향교의 별칭.
학궁폐단(學宮弊端)[거창가 32 페이지 / 전적]
학궁(學宮)은 향교(鄕校)의 별칭임.
학궁폐단(學宮弊端)[거창가 32 페이지 / 전적]
학궁(學宮)은 향교(鄕校)의 별칭임.
학금(鶴琴)[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 페이지 / 전적]
거문고를 타는 일. 또는 그때에 부르는 노래. 거문고의 명인(名人)이었던 사광(師曠)이 연주할 때 현학(玄鶴)이 모여들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학동(鶴洞)[ 1 페이지 / ]
학미동鶴尾同으로 지금의 학선리가 아닌가 한다.[창평읍지] 에는 창평현 내남리에 소재한 마을로서 창평현 관문 남쪽 15리 거리에 있다고 했다.
학명구고(鶴鳴九臯)[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2 페이지 / 전적]
구고학명(九臯鶴鳴). 물이 있는 못 가운데서 울고 있는 학(鶴). 몸은 숨기고 있으나 명성이 드러나는 것을 비유한 말.
학문(學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6 페이지 / 전적]
「學問心思」-中庸에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라 했는데 註에 『이는 誠하는 조목이라』하였음.
학문學文[ 1 페이지 / ]
주역(周易)·서경(書經)·시경(詩經)·춘추(春秋)·예악(禮樂) 등 사서 육예(四書六藝)를 배움.
학문學文[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주역(周易)·서경(書經)·시경(詩經)·춘추(春秋)·예악(禮樂) 등 사서 육예(四書六藝)를 배움.
학민(虐民)[아림가(娥林歌) 22 페이지 / 전적]
백성에게 가혹하게 대함.
학민(虐民)[가사소리 11 페이지 / 전적]
백성에게 가혹하게 함.
학민부중(虐民賦重)[명륜가(明倫歌) 51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을 학대하고 세금을 무겁게 거둠.
학발(鶴髮)[몽별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두루미의 깃털처럼 희다는 뜻으로, 하얗게 센 머리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