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호용투한(好勇鬪狠)[창덕가2 63 페이지 / 전적]

용맹한 것을 좋아하여 싸움을 잘 함.

호용투한(好勇鬪狠)[창덕가2 64 페이지 / 전적]

용맹한 것을 좋아하여 싸움을 잘 함.

호용한투(好勇狠闘)[지효가(知孝歌) 8 페이지 / 전적]

용맹을 좋아하여 다투어 싸움.

호우학행(好友學行)[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벗과 배우고 행함.

호우학행(好友學行)[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벗과 배우고 행함.

호운(呼韻)[ 1 페이지 / ]

시를 이룰 때 격식에 맞추어 짓는 운자韻字를 부름,또는 그 때의 시운時韻.

호원(呼冤)[합강정가(合江亭歌) 3 페이지 / 전적]

원통함을 하소연함.

호원(胡元)[옥설가 45 페이지 / 전적]

원나라가 북호(北胡)에서 일어났다 하여 낮추어 일컫는 말.

호원(胡元)[옥셜화답 4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송에 이어진 원나라(1271∼1368)를 비하하여 이른 말. 원나라는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에 이르는 약 1세기 사이에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거의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골족의 왕국임.

호월(晧月)[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6 페이지 / 전적]

매우 밝게 비치는 달.

호월(湖月)[초한가라 17 페이지 / 전적]

호수에 뜬 달.

호위[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호위(好威). 좋은 위용(威容). 좋은 위용이 있는 모습.

호유(曉諭)하여[조심가라 35 페이지 / 전적]

깨달아 알도록 타일러 주어.

호유(曉諭)하여[조심가라 35 페이지 / 전적]

깨달아 알도록 타일러 주어.

호을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4 페이지 / 전적]

「椘臣餐」-椘나라 世臣 屈原의 離騷經 『夕餐秋菊之落英』이란 글구가 있으므로 쓴 것임.

호음(好音)[옥산가라 15 페이지 / 전적]

좋은 소식.

호음(號音)[녁대가(녁가) 36 페이지 / 전적]

신호로 내는 소리.

호읍(號泣)[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목놓아 소리내어 욺.

호읍(號泣)[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목놓아 소리내어 욺.

호읍(號泣)[광애가(廣愛歌) 8 페이지 / 전적]

소리내어 부르짖으며 욺.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