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호시절(好時節)에[노정가라(노졍기라) 5 페이지 / 전적]

좋은 시절에

호시춘풍(好時春風)[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시춘풍(四時春風), 두루춘풍과 같은 뜻으로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시춘풍(好時春風)[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시춘풍(四時春風), 두루춘풍과 같은 뜻으로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시탐탐(虎視耽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1 페이지 / 전적]

「虎視耽耽」- 易 頣의 六四에 「虎視耽耽 共欲逐逐」이라 했는데그 威嚴을 길러 마치 범이 物을 보듯이 하여 탐욕을 부린다는뜻임.

호식[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호식(好食). 좋은 음식.

호신접기(呼神接氣)[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7 페이지 / 전적]

신을 불러 기를 접하다.

호악(灝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15 페이지 / 전적]

灝는 汪洋의 뜻이요 噩은 嚴□의 뜻임. 法言 問神에 「南書灝灝爾 周書噩噩爾」라 하였음.

호안(好顔)[허후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기쁜 빛을 띤 얼굴.

호안(胡雁)[환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북쪽의 오랑캐 땅에서 오는 기러기.

호안(胡雁)[환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북쪽의 오랑캐 땅에서 오는 기러기.

호안정(胡安定)이 작신(作新)[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3 페이지 / 전적]

호안정은 즉 호원(胡瑗)이며 작신은 새로운 사람으로 진작시키는 것. 그는 일찍이 호주 교수(湖州敎授)가 되어 경의재(經義齊) ,치사제(治事齊)를 두고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태학에 들어가서도 다년간 인재 양성에 온 정성을 쏟았다.

호양(護養)[답가사라(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을 정성껏 모심.

호양(護養)[답가사라(답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을 정성껏 모심.

호양공주(湖陽公主)[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한(漢) 무제(武帝)의 누이로, 일찍이 남편과 사별하여 미망인이 됨. 무제가 공주의 재혼을 위해 공주가 평소 흠모했던 송흥(宋弘)을 불렀으나, 송흥은 “신은 가난할 때 친하였던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고,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집에서 내보내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臣聞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라고 하며 거절하였다.

호양공주(湖陽公主)[상사금실가 3 페이지 / 전적]

한(漢) 무제(武帝)의 누이로, 일찍이 남편과 사별하여 미망인이 됨. 무제가 공주의 재혼을 위해 공주가 평소 흠모했던 송흥(宋弘)을 불렀으나, 송흥은 “신은 가난할 때 친하였던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고,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집에서 내보내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臣聞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라고 하며 거절하였다.

호연浩然[ 1 페이지 / ]

호연지기 곧 널리 천지간에 유통하는 정대正大한 원기. 마음이 넓고 뜻이 큰 모양.

호연기(浩然氣)[황남별곡(黃南別曲) 20 페이지 / 전적]

호연지기(浩然之氣)의 준말.사물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마음.하늘과 땅 사이에 넘치게 가득 찬 넓고도 큰 원기.

호열자(虎列刺)[궁월가라 18 페이지 / 전적]

콜레라'의 다른 말.'괴질'은 콜레라를 속되게 이르는 말.

호용투한(好勇鬪悍)[창덕가2 52 페이지 / 전적]

용맹을 좋아하고 싸우며 사납게 굶.

호용투한(好勇鬪悍)[창덕가2 53 페이지 / 전적]

용맹을 좋아하고 싸우며 사납게 굶.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