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호성(呼聲)[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르는 소리.

호성(虎惺)[송강집(松江集六)6 26 페이지 / 전적]

문경호(文景虎)와 박성(朴惺)이 송강(松江)을 훼주한 소(疏)를 올렸음

호성감(湖城監)[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1 페이지 / 전적]

왕실의 종친 이주(李柱)를 말함.

호성견성(虎性犬性)[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5 페이지 / 전적]

호랑이의 성질과 개의 성질.

호세지세(戶稅地稅)[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호세는 집집마다 내는 세금, 지세는 땅에 물리는 세금.

호세지세(戶稅地稅)[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호세는 집집마다 내는 세금, 지세는 땅에 물리는 세금.

호소무처(呼訴無處)[여행록이라(여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원통(寃痛)한 사정(事情)을 호소(呼訴)할 곳이 없음.

호소식(好消息)[칠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소식.

호수(戶首)[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24 페이지 / 전적]

군역이나 공부(貢賦)납부의 책임을 지고 있는 민호의 대표자. 군역의 경우엔 직접 군사로 복무하는 사람을 이른다.

호수(戶首)[거창가라 20 페이지 / 전적]

땅 여덟 결(結)을 한 단위로 하여 공부(貢賦)를 바치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호수(戶首)[아림가(娥林歌) 20 페이지 / 전적]

땅 여덟 결(結)을 한 단위로 하여 공부(貢賦)를 바치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호시(好時)라고[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7 페이지 / 전적]

좋은 때라고.

호시(弧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3 페이지 / 전적]

「弧矢」―桑弧蓬矢의 略稱임. 禮記內則에「國君의 世子가 生하면 射人이 桑弧蓬矢六으로써 天地四方에 쏜다」라 했고 註에「桑弧蓬矢는 太古에 本함이요 天地四方은 男子의 所有事이다」라 하였음.

호시(怙恃)[환무자탄가 23 페이지 / 전적]

믿고 의지한다는 뜻으로, ‘부모1’를 이르는 말.

호시절(好時節)[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때.

호시절(好時節)[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6 페이지 / 전적]

좋은 시절.

호시절(好時節)[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6 페이지 / 전적]

좋은 시절.

호시절(好時節)[합자가(合字歌) 2 페이지 / 전적]

좋은 시절.

호시절(好時節)[길자가(吉字歌) 2 페이지 / 전적]

좋은 시절.

호시절(好時節)[허후전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좋은 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