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화전(花煎)[선유가라 5 페이지 / 전적]
여러 가지 색으로 물들인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꽃 모양으로 만들어 지진 떡.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따위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
화전(花煎)놀음[초원동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화전(花煎)놀음[초원동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화전(花煎)놀음[조선국퇴정문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花煎)놀이.산놀이에서 유래한 꽃놀이.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의 봄 놀이.
화전(花煎)놀이[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화전(花煎)놀이[청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화전(花煎)놀이[인일가라 2 페이지 / 전적]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화전(花煎)때와[남천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따위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을 먹는 시기.
화전(花煎)때와[남천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따위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을 먹는 시기.
화전(花鈿)[쟝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꽃비녀.
화전(華顚)[송강집(松江集三)3 29 페이지 / 전적]
흰 머리에 빛나는 털.
화전가(花煎歌)[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규방 가사(閨房歌辭)의 하나. 봄날에 여인들이 시집살이의 굴레를 벗어나 경치 좋은 곳을 찾아 화전놀이를 즐기는 것을 노래하였음.
화전가(花煎歌)[환무자탄가 29 페이지 / 전적]
규방가사(閨房歌辭)의 하나로 봄날에 여인들이 시집살이의 굴레를 벗어나 경치 좋은 곳을 찾아 화전놀이를 즐기는 것을 노래하였다.
화전가(花煎歌)[허후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로 봄날에 여성들이 시집살이의 굴레에서 벗어나 경치 좋은 곳을 찾아 화전놀이를 하며 즐기는 것을 노래한 작품부류를 일컫는다.
화전난무 봉삼하(花前亂舞 蜂三夏)[원유가 7 페이지 / 전적]
삼복 더위에 벌떼들이 꽃밭에서 어지러이 춤을 춤.
화전놀이[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봄에 경치가 좋은 곳에서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노는 부녀자의 놀이.
화전성회(花煎盛會)[당산조션가 10 페이지 / 전적]
화전을 먹으면서 갖는 성대한 모임.
화전성회(花煎盛會)[어와따님요(어와님요) 1 페이지 / 전적]
화전을 먹으면서 갖는 성대한 모임.
화전일취(花前一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꽃 앞에서 기분 내어 한바탕 취하는 것.
화전지(花箋紙)[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8 페이지 / 두루마리]
편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