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화작작(花灼灼)[셩경가 7 페이지 / 전적]

붉은 꽃이 찬란하게 핌.

화작작(花灼灼)[셩경가 7 페이지 / 전적]

붉은 꽃이 찬란하게 핌.

화작작(花灼灼)[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꽃이 매우 화사하게 만발한 모양.

화작작(花灼灼)[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꽃이 활짝 아름답게 핌.

화장(華藏)[자책가(가) 19 페이지 / 전적]

화장계(華藏界) 또는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의 준말. 연화에서 출생한 세계. 또는 연화 속에 함장(含藏)된 세계.

화장(華藏) 바다 화장계(華藏界)[셔왕가 6 페이지 / 전적]

화장계(華藏界), 즉, 연화장 세계(蓮華藏世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연화장 세계(蓮華藏世界)의 준말. 연화에서 출생한 세계. 또는, 연화 속에 함장(含藏)된 세계.

화장금[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화장금(華裝衾). 아름다운 꽃으로 장식한 이불.

화저(火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1 페이지 / 전적]

부젓가락, 화로에 꽂아 두고 불덩이를 집거나 불을 헤치는 데 쓰는 쇠로 만든 젓가락을 이른다.

화전(化轉)[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을 가르치어 변하게 함.

화전(花煎)[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꽃전이라고도 하며 차전병의 하나. 찹쌀가루 반죽을 두껍게 접시만 한 둘레로 만들고, 위쪽에는 바둑판무늬를 지게 한 다음, 번철에 기름을 부어 아주 띄워 지진 것처럼 만듬.

화전(花煎)[남여동락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따위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

화전(花煎)[환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놀이. 산 같은 경치 좋은 곳에 가서 음식을 먹고 꽃을 보며 노는 꽃놀이. 진달래꽃으로 화전을 지져 먹고 가무를 즐기는 여성들의 놀이를 말함.

화전(花煎)[환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놀이. 산 같은 경치 좋은 곳에 가서 음식을 먹고 꽃을 보며 노는 꽃놀이. 진달래꽃으로 화전을 지져 먹고 가무를 즐기는 여성들의 놀이를 말함.

화전(花煎)[남여동락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따위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

화전(花煎)[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화전(花煎)[환무자탄가 29 페이지 / 전적]

꽃잎을 부텨 부친 부꾸미.

화전(花煎)[여자석별가 2 페이지 / 전적]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등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

화전(花煎)[망부가 13 페이지 / 전적]

꽃전.찹쌀가루 반죽을 두껍게 접시만 한 둘레로 만들고, 위쪽에는 바둑판무늬를 지게 한 다음, 번철에 기름을 부어 아주 띄워 지진 것처럼 만듦.

화전(花煎)[허후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꽃전.

화전(花煎)[낙향이별가 9 페이지 / 전적]

꽃전.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의 봄놀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