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화전촌(火田村)[노정가라(노졍기라) 19 페이지 / 전적]
화전을 일구어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화전통문(花煎通文)[남여동락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놀이에 관련된 정보를 여러 사람의 성명을 적어 차례로 돌려보는, 통지하는 문서.
화전통문(花煎通文)[남여동락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놀이에 관련된 정보를 여러 사람의 성명을 적어 차례로 돌려보는, 통지하는 문서.
화전통문(花煎通文)[붕우들아춘회굑 1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놀이를 알리는 통문.
화전할고[화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花煎)놀이. 꽃잎을 따서 전을 부쳐 먹으며 춤추고 노는 부녀자들의 봄놀이
화접심향(花蝶尋香)[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5 페이지 / 전적]
꽃 속으로 나비가 날아드는 형상.
화정(和靖)[석천집(石川集二-三)2-3 12 페이지 / 전적]
북송(北宋) 때에 임포(林逋,967-1028)의 시호. 자는 군복(君復)으로 박학다식하고 시서(詩書)에 능했다.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은거하여 매화와 학을 처자로 삼아 지냈다.
화정(和靖)[석천집(石川集二-三)2-3 153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때 임포(林逋)의 시호.
화정려(火正黎)[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불을 다스리는 신.
화제(畵題)[한흥가라 21 페이지 / 전적]
그림의 제명(題名).
화제(畵題)[한흥가라 21 페이지 / 전적]
그림의 제명(題名).
화제(畵題)[한흥가라 21 페이지 / 전적]
그림의 제명(題名).
화제(畵題)[한양가라 20 페이지 / 전적]
그림 위에 쓰는 시문(詩文).
화제(花諸)[구쟉가 10 페이지 / 전적]
모든 꽃.
화젼[셕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花煎)놀이 할 때.
화조火棗[ 1 페이지 / ]
전설속의 선과仙果. 이것을 먹으면 날개가 생겨나 날아다닐수 있다고 함.
화조가(花鳥歌)[농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가 계열.
화조가(花鳥歌)[농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화전가 계열.
화조가(花鳥歌)[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내방가사의 하나로 안동 지방에 구전되어 오던 노래이다. 내용은 젊은 시절도 다 지나가고 백발이 된 신세를 한탄하면서 태평성대를 기리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화조월석(花朝月夕)[명륜가(明倫歌) 67 페이지 / 전적]
‘꽃이 핀 아침과 달 밝은 저녁’이란 뜻으로, ‘경치가 좋은 때’를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