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화조월석(花朝月夕)[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화조월석(花朝月夕)[로인가 5 페이지 / 전적]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화조월석(花朝月夕)[로인가 14 페이지 / 전적]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화조월석(花朝月夕)[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피는 아침(2월 15일)과 달 밝은 밤(8월 15일). 경치가 좋은 때. 경치가 좋은 시절 또는 봄의 아름다운 자연을 뜻함.

화조월석(花朝月夕)[청춘사연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꽃피는 아침과 달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화조월석(花朝月夕)[별한가 11 페이지 / 전적]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화조월석(花鳥月夕)[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저녁이란 뜻으로, 경치가 좋은 때를 이름.

화조풍월(花鳥風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과 새와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르는 말.

화조풍월(花鳥風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과 새와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르는 말.

화존(和存)[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화합(和合). 화목하게 어울림.

화존(和存)[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화합(和合). 화목하게 어울림.

화주(化主)[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신자의 집을 다니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법연(法緣)을 맺게 하는 동시에, 절에서 쓰는 비용을 구하는 승려.

화주(化主)[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신자의 집을 다니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법연(法緣)을 맺게 하는 동시에, 절에서 쓰는 비용을 구하는 승려.

화주花洲[ 1 페이지 / ]

꽃 핀 물가

화주승(化主僧)[조씨가천소리 3 페이지 / 두루마리]

시주하는 물건을 얻어 절의 양식을 대는 중.

화중고혼(火中孤魂)[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에 타 죽은 사람의 외로운 넋.

화중군자(花中君子)[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 중의 군자라는 뜻으로, ‘연꽃’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진흙에서 자라지만 그 더러움이 물들지 않는 데서 유래한다.

화중미인(畵中美人)[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그림 속의 미인.

화중선(花中仙)[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화중신선(花中神仙)’의 줄임말로 꽃 가운데 신선이라는 뜻.

화중신선(花中神仙)[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꽃 중의 신선이라는 뜻이로, ‘해당화’를 달리 부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