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나주박씨(羅州朴氏)[한흥가라 61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나주나씨’라고 잘못 표기.
나주박씨(羅州朴氏)[한양가라 59 페이지 / 전적]
인종의 정비 인성왕후박씨(仁聖王后朴氏)의 본관(本貫).
나주박씨(羅州朴氏)[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선조의 정비 의인왕후박씨(懿仁王后朴氏)의 본관(本貫).
나주풍경(羅州風景)[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중앙부에 위치한 한 군으로 원래 백제의 발자군(發蔗郡)이었다. 신라 때에 금산군(錦山郡), 후에 고려 때에는 나주(羅州) 등으로 되었다가 조선조 세조(世祖) 때에는 진(鎭)을 두어 관할했다. 금성산성(錦城山城), 다보사(多寶寺) 등의 명승 고적이 많다.
나진(羅津)[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북도 북쪽에 있는 항구도시.
나짐며[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낮이면. 낮이 되면.
나찰[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9 페이지 / 전적]
악한 귀신의 하나. 푸른 눈ㆍ검은 몸ㆍ붉은 머리털을 하고서 사람을 잡아먹으며, 지옥에서 죄인을 못살게 군다고 함. 야차(夜叉)와 함께 비사문천(毘沙門天)에게 딸린 식구.
나찰(羅刹)[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불교용어로 팔부의 하나. 푸른 눈과 검은 몸, 붉은 머리털을 하고서 사람을 잡아먹으며, 지옥에서 죄인을 못살게 군다고 함. 나중에 불교의 수호신이 되었음.
나찰(羅刹)[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팔부의 하나. 푸른 눈과 검은 몸, 붉은 머리털을 하고서 사람을 잡아먹으며, 지옥에서 죄인을 못살게 군다고 한다. 나중에 불교의 수호신이 되었다.
나체노발(裸軆露髮)[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알몸에 털까지 드러냄.
나태(懶怠)[충효가(忠孝歌) 7 페이지 / 전적]
행동, 성격 따위가 느리고 게으름.
나태(懶怠)[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행동, 성격 등이 느리고 게으르다.
나태(懶怠)[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행동, 성격 등이 느리고 게으르다.
나태치[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나태하게.
나태치[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나태하게.
나투었다[나웅하상토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나타냈다’의 옛말.
나한(羅漢)[금강산유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라한(阿羅漢)의 약칭. 소승불교(小乘佛敎)에 있어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이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대승(大乘)·소승(小乘)을 통틀어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자를 가리키는 말.
나한(羅漢)[권왕가 30 페이지 / 전적]
라한(阿羅漢)의 준말. 소승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어 공덕을 갖춘 성자(聖者)를 이르는 말.
나한(羅漢)[가야희인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생사를 이미 초월하여 배울 만한 법도가 없게 된 경지의 부처. 아라한과 같은 말. 보통 사찰에서는 나한전(羅漢殿)을 둬 십육 나한이나 오백 나한을 봉안함.
나회고 가든이[형제붕우소회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가 차고 꾀가 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