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나부(懶婦)[여행록이라(여녹이라) 26 페이지 / 전적]

게으른 며느리. 난부(嬾婦)와 같은 말.

나부(懶婦)[나부가라(라부가라) 1 페이지 / 전적]

게으른 며느리. 난부(嬾婦)와 같은 말.

나부산(羅浮山)[송강집(松江集三)3 14 페이지 / 전적]

나부산(羅浮山)을 말할 것인데 중국 광동성(廣東城)에 있음. 옛날에 조옹 (趙雄)이 술에 취하여 산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꿈에 미인(美人)을 만나서 즐기고 깨어보니 큰 매화나무 아래 누워 있었다 하였음.

나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9 페이지 / 전적]

「周夢蝶」-周는 莊周를 말함. 莊子齊物論에「昔者莊周 夢爲胡蝶栩栩然胡蝶也 自喩適志歟 不知周也 俄然覺 則蘧蘧然周也」라하였음.

나비[면앙집(俛仰集 一)1 66 페이지 / 전적]

蝶夢: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어 날아다녔다고 함

나비잠[선유가라 11 페이지 / 전적]

나비 모양의 비녀.

나삐보리[한양가라 18 페이지 / 전적]

나쁘게 보리.

나삼(羅衫)[동국조선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혼례 때에 신부가 입던 예복의 하나. 활옷을 벗은 뒤에 입던 옷으로, 연두색 길에 자주색 깃을 달고 소매는 색동으로 만든다.

나삼(羅衫)[두껍전이라(겁젼이라) 11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연둣빛 길에 자줏빛 깃을 달고, 소매는 색동으로 만들었음.

나삼(羅衫)[두껍전이라(겁젼이라) 15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나삼(羅衫)[죽엽가(쥭엽가) 11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연둣빛 길에 자줏빛 깃을 달고, 소매는 색동으로 만들었음.

나삼(羅衫)[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5 페이지 / 전적]

혼례 때에 신부가 활옷을 벗고 입는 예복.

나색[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내색’의 잘못.

나생이꽃[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냉이꽃.

나석주(羅錫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8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1892~1926). 3ㆍ1 운동 후에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6년 12월 28일에 동양 척식 주식회사와 식산 은행에 폭탄을 던지고 자결하였다.

나송재[팔역가(八域歌) 31 페이지 / 전적]

송재 나세찬, 금성인으로 조선 중기 대표적 문인 학자

나송재[팔역가(八域歌) 45 페이지 / 전적]

금성인 나세찬, 조선 중종 대 유명한 문인, 김안로와 갈등으로 고성에 위리안치되어 忠信 두 글자를 새겨두 고 조석으로 궁궐쪽에 절함

나신(裸身)[대효가(大孝歌) 5 페이지 / 전적]

벌거벗은 몸.

나신(裸身)[사군가(事君歌) 1 페이지 / 전적]

벌거벗은 몸.

나연후의[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난 연후에. 난 다음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