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나열(羅列)[츅친서라 7 페이지 / 전적]
나란히 줄을 짓거나 죽 벌여놓음.
나열(羅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4 페이지 / 전적]
죽 벌여 놓음.
나열(羅列)[한양가라 65 페이지 / 전적]
줄지어 서다.
나온듸 전이잇고[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나온 데 전혀 잊고. 나온 곳 전혀 잊고.
나온듸 전이잇고[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나온 데 전혀 잊고. 나온 곳 전혀 잊고.
나올적[ 1 페이지 / ]
떠나올 적.
나옹(懶翁)[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말기의 중(1320~1376)으로 속성은 아(牙), 속명은 원혜(元惠), 호는 나옹(懶翁)·강월헌(江月軒)이다. 중국 원나라에서 인도의 중 지공(指空)에게 배운 뒤에 귀국하여 왕사가 되었다. 보우(普愚)와 더불어 고려 말 선종의 대가로서 이후의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1376)[금강산유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말의 고승(高僧)으로 중국 각지를 편력하며 견문을 넓힌 뒤 귀국하여 왕의 요청으로 신광사(神光寺)에 머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사찰을 지킴.
나옹조사(懶翁祖師)[금강산유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공민왕 때의 왕사(王師, 1320~1376). 속성은 아(牙). 호는 나옹 또는 강월헌(江月軒). 중국 서천(西天)의 지공화상(指空和尙)을 따라 심법(心法)의 정맥(正脈)을 받아 왔음. 지공·무학(無學)과 함께 삼대화상(三大和尙)의 한 사람으로 불림. 시호(諡號)는 선각(禪覺).
나옹화상(懶翁和尙)[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말의 고승(高僧)인 혜근(慧勤, 1320~1376)으로 속성 아(牙). 초명 원혜(元慧). 호 나옹(懶翁). 시호 선각(禪覺). 영해(寧海) 출생. 20세 때 친구의 죽음을 보고, 출가하여 공덕산 묘적암(妙寂庵)의 요연(了然)에게서 득도하고, 1348년(충목왕 4) 원나라에 가서 연경(燕京)의 고려 사찰인 법원사(法源寺)에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았다. 고려가 자주국가로서의 면모를 회복하고자 노력할 때, 나옹은 중국에서 선의 기개를 떨치고 1358년(공민왕 7) 귀국하였다. 1361년 왕의 요청으로 신광사(神光寺)에 머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사찰을 지켰는데, 그 뒤는 광명사(廣明寺)와 회암사(檜巖寺)에 머물렀다. 1371년 왕사(王師)가 되어 회암사에 주석하였으며, 1376년(우왕 2) 문수회(文殊會)를 열었는데 사람들이 다투어 모여들어 대혼란이 일자, 조정에서 밀양(密陽) 영원사(瑩源寺)로 이주하도록 하였는데, 가는 도중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서 입적했다.
나완(懦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2 페이지 / 전적]
「懦頑」―孟子 萬草篇에 「聞伯夷之風者 頑夫廉 懦夫有立志」라는 대문이 있음。
나월송풍(蘿月松風)[금강산유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녹라 넝쿨에 비치는 달빛과 소나무에 불어오는 바람.
나위 젹막고[ 1 페이지 / ]
방안에 친 비단 장막은 쓸쓸하고.
나위(羅幃)[사미인곡 5 페이지 / 전적]
엷은 비단으로 만든 휘장.
나은(羅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4 페이지 / 전적]
「羅隱」-唐未의 餘抗人인데 詩로써 이름났으며 더욱 詠史詩에 能하였다. 그러나 譏諷한 바가 많아서 이때문에 科弟에 오르지 못했다. 五代때에 吳越에 出仕하여 錢鏐의 從事가 되고 八十餘歲에 卒하였음
나은(羅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2 페이지 / 전적]
「羅隱」― 唐나라 詩人인데 더욱 詠史에 능했다. 그러나 譏諷이 많은 까닭으로 종신토록 科第에 오르지 못하였음 위에 보임.
나을 오란말가[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나를 찾아 온단 말인가.
나의 군자[규중여자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서방님.
나의(羅衣)[봉션화가 4 페이지 / 전적]
비단 옷.
나의자야[추월감 6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의 아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