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나후(羅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0 페이지 / 전적]
「羅侯」- 松齋 羅世纘을 말함.
나히젹고[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 적고. ‘나히’는 나이의 뜻이다.
나잠 덜자고[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나뿐 잠 덜 자고. (부족하면 건강에) 나뿐 잠 덜 자고.
나잠 덜자고[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나뿐 잠 덜 자고. (부족하면 건강에) 나뿐 잠 덜 자고.
낙강(落江)[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제방이 무너지거나 범람하는 것.
낙강(落江)[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제방이 무너지거나 범람하는 것.
낙강성천(落江成川)[거창가 16 페이지 / 전적]
낙강(落江)은 제방이 무너지거나 범람하는 것을 뜻하고, 성천(成川)은 성천복사(成川覆沙)의 약칭으로서 개천으로 되어버린 전지(田地)와 모래가 덮여버린 전지를 말함. 이럴 경우는 면결(免結)되었는데, 당시의 수령과 아전들은 수재로 하여 모래사장이 되어버린 전지에 결복함으로써 원징(寃徵)의 폐단을 만들어 냈던 것임.
낙강성천(落江成川)[거창가 16 페이지 / 전적]
낙강(落江)은 제방이 무너지거나 범람하는 것을 뜻하고, 성천(成川)은 성천복사(成川覆沙)의 약칭으로서 개천으로 되어버린 전지(田地)와 모래가 덮여버린 전지를 말함. 이럴 경우는 면결(免結)되었는데, 당시의 수령과 아전들은 수재로 하여 모래사장이 되어버린 전지에 결복함으로써 원징(寃徵)의 폐단을 만들어 냈던 것임.
낙강수(洛江水)[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낙동강(洛東江).
낙강수(洛江水)[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낙동강(洛東江).
낙교(洛橋)[거창가라 26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남성의 낙수(洛水)강에 놓인 천진교(天津橋)를 이르는 말.
낙교(洛橋)[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남성의 낙수(洛水)강에 놓인 천진교(天津橋)를 이르는 말.
낙구천(落九天)[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떨어지는가.
낙구천(落九天)[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떨어지는가.
낙구천이요[팔역가(八域歌) 18 페이지 / 전적]
이백의 여산폭포 시에 나오는 말, 폭포물 쏟아지는 소리가 마치 은하수가 떨어져내리는 것과
낙구하마(洛龜河馬)[권션지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도낙서(河圖洛書)를 말함. 하도는 복희씨 때 황하에서 나온 용마의 등에 나타났다는 그림. 낙서는 우왕 때 낙수에서 나온 거북이의 등에 있었다는 글.
낙귀 하마(洛龜河馬)[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주역(周易)과 홍범구주(洪範九疇)의 근본으로 일컫는 ‘하도 낙서(河圖洛書)’에 보이는 신비로운 거북과 말. 즉 ‘하도(河圖)’는 중국의 상고시대 복희씨(伏羲氏) 때에 황하(黃河)에 나타난 용마(龍馬)의 등에 그려 있었다는 그림이요, ‘낙서(洛書)’는 우왕(禹王)이 치수(治水)할 때 낙수(洛水)에 나타난 신귀(神龜)의 등에 있었다는 글자를 말함.
낙귀(洛龜)[궁장가(宮牆歌) 4 페이지 / 전적]
낙수의 거북이(洛龜). 우(禹)가 황하의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등에 낙서(洛書)를 짊어지고 나타났다는 신기한 거북이.
낙귀(洛龜)[궁장가(宮牆歌) 4 페이지 / 전적]
낙수의 거북이(洛龜). 우(禹)가 황하의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洛水)에서 등에 낙서(洛書)를 짊어지고 나타났다는 신기한 거북이.
낙귀하마(洛龜河馬)[붕우츠회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주역(周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