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노방(路傍)[거창가라 22 페이지 / 전적]
길가
노방(路傍)[아림가(娥林歌) 23 페이지 / 전적]
길가
노방강시(路傍僵屍)[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길가에서 얼어 죽은 송장들.
노방강시(路傍僵屍)[거창가 18 페이지 / 전적]
길가에서 얼어 죽은 송장들.
노방정[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노방청(奴房廳)의 오기(誤記). 노방청(奴房廳)은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의 관노들이 출근하여 대기하던 집.
노변(路邊)[한양가라 68 페이지 / 전적]
길가.
노복(奴僕)[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종살이를 하는 남자.
노복(奴僕)[신힁가라 17 페이지 / 전적]
늙은 사내종.
노복(奴僕)[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5 페이지 / 전적]
사내종.
노복(奴僕)[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5 페이지 / 전적]
사내종.
노복(奴僕)[연행별곡(연별곡) 25 페이지 / 전적]
사내종.
노복(老僕)[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 사내종.
노복(老僕)[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 사내종.
노불지도(老佛之道)[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노자(老子)와 석가(釋迦)의 도.
노불청정(老不聽政)[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늙어서도 정사를 돌보지 않음.
노불청정(老不聽政)[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늙어서도 정사를 돌보지 않음.
노비(路費)[장씨부인역사라 10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노비(路費)[장씨부인역사라 10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노비권속(奴婢眷屬)[여자석별가 11 페이지 / 전적]
노비 식구들 모두.
노비우마(奴婢牛馬) 노비(奴婢) 우마(牛馬)[자책가(가) 8 페이지 / 전적]
선비의 집에 흔히 갖추어 있는 재산으로 노비와 우마. 사내종과 계집종의 총칭. 소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