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노소동류(老少同類)[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어른과 어린 아이 그리고 친구.
노소부닌[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노소부인(老少婦人).
노소연치(老少年稚)[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노인들과 젊은이 그리고 어린 아이들까지.
노소장유(老少長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와 젊은이, 어른과 아이.
노소장유(老少長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와 젊은이, 어른과 아이.
노소장유(老少長幼)[당산조션가 6 페이지 / 전적]
늙은이와 젊은이, 노인과 어린이.
노소재(盧蘇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노수신(盧守愼). 조선 시대의 문신ㆍ학자(1515~1590).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ㆍ여봉노인(茹峯老人)ㆍ암실(暗室)ㆍ이재(伊齋). 을사사화로 유배되었다가 복귀하여 영의정에 올랐으나 기축옥사로 파직되었다. 저서에 ≪소재집≫이 있다.
노속(奴屬)[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 종.
노속(奴屬)[청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종의 무리. 또는, 종의 족속.
노속(奴屬)[여자석별가 13 페이지 / 전적]
종의 신분을 가진 사람 또는 무리.
노속드라[셕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노속(奴屬)들아. 종붙이들아.
노송(老松)[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늙은 소나무, 편백.
노송(老松)[고분가 11 페이지 / 전적]
늙은 소나무, 편백.
노송나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7 페이지 / 전적]
「柱影」―月中의 柱影을 말함。
노수(老叟)[뎡슝샹회방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
노수(路需)[옥단춘전이라 12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노자
노수(路需)[인일가라 9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떠나 오가는데 드는 비용.
노수신(盧守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문신ㆍ학자(1515~1590).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ㆍ여봉노인(茹峯老人)ㆍ암실(暗室)ㆍ이재(伊齋). 을사사화로 유배되었다가 복귀하여 영의정에 올랐으나 기축옥사로 파직되었다. 저서에 ≪소재집≫이 있다.
노승(老僧)[벽천가 41 페이지 / 전적]
늙은 중.
노심(勞心)[칠여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으로 애를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