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노안(老眼)[경노의심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늙어서 시력이 약해진 눈.
노안비슬(奴顔婢膝)[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사내종의 얼굴과 계집종의 무릎’이란 뜻으로, ‘사내종이 고개를 숙이고, 계집종이 무릎을 꿇듯이 남과 교제할 때 지나치게 굽실굽실하며 비굴한 태도로 일관함’을 이르는 말.
노안비슬(奴顔婢膝)[로인가 13 페이지 / 전적]
남자 종의 아첨하는 얼굴과 여자 종의 무릎걸음이라는 뜻으로, 하인처럼 굽실거리는 얼굴로 비굴하게 알랑대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노야(老爺)[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5 페이지 / 전적]
노옹과 같은 말로 어르신네 또는 늙은이의 지칭.
노약(老弱)[경노의심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 사람과 약한 사람.
노어(魯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6 페이지 / 전적]
「魯魚」― 誤字를 바로잡는 것을 말함. 抱朴子 遐覽에 「諺曰書三寫 魚成魯 虛成虎」라 하였음.
노어(魯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7 페이지 / 전적]
「魯魚」― 誤字를 바로잡는 것을 말함. 抱朴子 遐覽에 「諺曰書三寫 魚成魯 虛成虎」라 하였음.
노여[ 1 페이지 / ]
전혀.
노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2 페이지 / 전적]
「悻悻 」―很怒하는 모습을 이름. 孟子 公孫丑篇에 『悻悻然 見於其面』이란 대문이 있음
노염(老念)[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노여움’의 줄임말. 분하고 섭섭하여 화가 치미는 감정.
노오노이(老吾老而) 급인(及人)하여[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4 페이지 / 전적]
내 집 어른을 섬기듯이 남의 집 어른도 섬겨야 한다는 말.
노와露臥[ 1 페이지 / ]
비나 이슬을 가리는 설비도 없이 한데서 그대로 눕는 것
노유한담(路遊閒談)[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길에서 노닐며 한가롭게 대화흘 나눔.
노유한담(路遊閒談)[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길에서 노닐며 한가롭게 대화흘 나눔.
노은공지 원련이라[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노은공지(魯隱公之) 원년(元年)이라. 노나라 은공 1년이라.
노을 먹는 사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12 페이지 / 전적]
신선을 말함. 도가(道家)의 수련법에 이슬 먹는 법이 있음.《眞誥》에 ‘해는 노을의 손님이고 노을은 해의 정기인데 그대는 오직 해를 복종시키는 법만 안다.‘ 하였음.
노음사(老阴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늙은 음(陰)의 형세를 갖춘 사(砂). 음(阴)은 음(陰)의 간자.
노음사(老阴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늙은 음(陰)의 형세를 갖춘 사(砂). 음(阴)은 음(陰)의 간자.
노음사(老阴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늙은 음(陰)의 형세를 갖춘 사(砂). 음(阴)은 음(陰)의 간자.
노음업난 병신닌체[효봉구고치산가 8 페이지 / 전적]
노(怒)여움 없는 병신인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