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녹기(綠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9 페이지 / 전적]
「綠綺」―거문고의 異稱임. 傳玄의 琴賦序에「楚王有琴曰繞梁司馬相如有綠綺 蔡邕有焦尾皆琴名」이라 하였음. 張平子의 西愁詩에「羙人遺我綠綺琴 行以報之雙南金」이란 句가 보임.
녹기안장(綠旗鞍裝)[시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깃발과 말안장.
녹난하다[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나른하고 피로하다.
녹녹(碌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碌碌」―無能하다는 뜻임. 史記平原君列傳에「公等碌碌 可謂因人成事者也」라는 구절이 있음.
녹도[팔역가(八域歌) 35 페이지 / 전적]
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녹동마을에 소재
녹도서(錄圖書)[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의 도참서. 여기에 진을 망하게 할 자는 호(胡)라고 되어 있어 진시황이 북방의 호족(胡族)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았으나, 진나라는 결국 이세황제인 호해(胡亥) 때에 멸망하였다.
녹도서(錄圖書)[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나라 때 유행하던 도참서(圖讖書).
녹도서(錄圖書)[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나라 때 유행하던 도참서(圖讖書).
녹동[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1630년 건립, 최덕지 배향, 최충성, 김수항, 김창협 추가 배향
녹동우며 유리병을[효봉구고치산가 22 페이지 / 전적]
놋쇠 동이며 유리병을.
녹라의상(綠羅衣裳)[자책가(가) 15 페이지 / 전적]
녹색 고운 비단으로 된 옷.
녹록(碌碌)[녁대가(녁가) 6 페이지 / 전적]
①평범하고 보잘것없음. ②만만하고 상대하기 쉬움.
녹록(碌碌)[녁대가(녁가) 34 페이지 / 전적]
평범하고 보잘것없음. 만만하고 상대하기 쉬움.
녹림(綠林)[벌교사(벌교) 6 페이지 / 전적]
푸른 숲.
녹명(鹿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2 페이지 / 전적]
「鹿鳴」―詩經 小雅 鹿鳴篇를 말한 것인데、이는 賓客을 燕饗하는 詩로서『呦呦鹿鳴 食野之苹 我有嘉賓 鼓瑟吹笙』이라 하였음
녹명시(鹿鳴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0 페이지 / 전적]
「廘鳴詩」-詩經 小雅 廘鳴을 말한 것인데 이 詩는 王이 羣臣과 嘉賓을 잔치하며 지은 것임.
녹명장(鹿鳴章)을 읊으면서[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61 페이지 / 전적]
녹명장은「시경」소아(小雅)의 편명(篇名). 옛날 과거에 급제하여 잔치를 베풀 때에 이 시를 노래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급제한 것을 말한다.
녹목추천(綠木鞦韆)[조선국퇴정문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무성한 버드나무에 그네를 매어서 탐.
녹문(鹿門)[송강집(松江集三)3 17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 양양 방덕공(襄陽龐德公)이 그 처(妻)와 함께 녹문산(鹿門山)에 숨고 세상에 나오지 아니하였음. 단(丹)은 선가(仙家)의 연단(鍊丹)임.
녹문의 선비에게[석천집(石川集二-二)2-2 231 페이지 / 전적]
녹문산은 호북성 양양현 동남쪽에 있는데, 한나라 말년에 방덕공(龐德公)이 약초를 캐며 살았다. 당나라 때에 시인 맹호연도 역시 이 산에 숨어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