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노이무공(勞而無功)[자책가(가) 6 페이지 / 전적]

애를 썼으나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론학가권지일 31 페이지 / 전적]

애만 쓰고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론학가권지일 31 페이지 / 전적]

애만 쓰고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용담가 5 페이지 / 전적]

노력하였으나 이룬 공이 없음. 즉 애쓴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1 페이지 / 전적]

노력하였으나 이룬 공이 없음. 즉 애쓴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용담가라 6 페이지 / 전적]

힘써 노력했는데도 이룩한 것이 없어 보람이 없음.

노이무부(老而無夫)[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늙어서 남편이 없다.

노이무부(老而無夫)[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늙어서 남편이 없다.

노이불학(老而不學)[ 1 페이지 / ]

늙도록 글을 배우지 아니함.

노이불학(老而不學)[자경별곡(自警別曲) 4 페이지 / 전적]

늙도록 글을 배우지 아니함.

노인성(老人星)[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남극성(南極星)이라고도 하며 이 별을 보면 장수(長壽)할 수 있다고 하여 수성(壽星)이라고도 부른다. 도가(道家)에서는 별을 보는 풍습이 수천년 동안 전해져 오는데, 그중의 하나가 노인성(老人星)을 보는 풍습이다. 민간에서는 ‘노인성을 세번 보면 백수를 누린다’는 말이 전해져온다.

노인성(老人星)[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극성.

노인성(老人星)[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천구(天球)의 남극 부근에 있어 2월 무렵에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 잠시 보이는 별.

노인성(老人星)[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극성.

노인성(老人星)[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천구(天球)의 남극 부근에 있어 2월 무렵에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 잠시 보이는 별.

노인성(老人聲)이라[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르고 푸른 너른 들엔 농부들의 소리요, 소나무 가지 그늘엔 노인들의 소리라

노인원비거(鷺人遠飛去)[구쟉가 15 페이지 / 전적]

백로가 사람에 놀라 멀리 날아가버리다. 이백(李白)의 <부득백로사송송소부입삼협(賦得白鷺鷥送宋少府入三峽)>에 나오는 구절로 원문에서는 ‘鷺人’이 아닌 ‘人驚’으로 쓰여 있다.

노인의 조객사(弔客砂)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노인이 손님을 조문하는 풍수형국이라. 사(砂)는 혈(穴)을 에싼 주위의 산봉우리와 지형의 형세를 말하는데, 현무(玄武), 주작(朱雀), 청룡(靑龍), 백호(白虎)가 기본이 되며, 이를 사사(四砂)라고 한다.

노인의 조객사(弔客砂)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노인이 손님을 조문하는 풍수형국이라. 사(砂)는 혈(穴)을 에싼 주위의 산봉우리와 지형의 형세를 말하는데, 현무(玄武), 주작(朱雀), 청룡(靑龍), 백호(白虎)가 기본이 되며, 이를 사사(四砂)라고 한다.

노인의 조객사(弔客砂)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노인이 손님을 조문하는 풍수형국이라. 사(砂)는 혈(穴)을 에싼 주위의 산봉우리와 지형의 형세를 말하는데, 현무(玄武), 주작(朱雀), 청룡(靑龍), 백호(白虎)가 기본이 되며, 이를 사사(四砂)라고 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