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산잠두(南山蠶頭)[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남산(南山). 산봉우리가 누에의 머리와 같이 생김을 이름.
남산잠두(南山蠶頭)[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산봉우리가 누에머리같이 생긴 산을 말하며, 여기서는 한양 남산을 말한다.
남산정(南山町)[셔유곡 2 페이지 / 전적]
현재의 경상북도 김천시 남산동. 남산이 있다고 해서 남산정이라고 불리웠는데 해방후 일제식 표기인 정(町)을 동(洞)으로 바꾸었음.
남살(濫殺)[거창가라 23 페이지 / 전적]
죄가 있고 없고를 가리지 않고 사람을 함부로 죽임.
남살(濫殺)[아림가(娥林歌) 26 페이지 / 전적]
죄가 있고 없고를 가리지 않고 사람을 함부로 죽임.
남상복두(藍相幞頭)[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2 페이지 / 전적]
남상(藍相)은 쪽빛을 말하고, ‘복두(幞頭)’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홍패를 받을 때 쓰던 관.
남생(男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5 페이지 / 전적]
고구려의 재상(?~679). 연개소문의 맏아들로 아버지를 이어 대막리지(大莫離支)가 되었으나 아우 남건, 남산에게 쫓겨났다.
남선(南鮮)[삼팔가(三八歌) 5 페이지 / 전적]
남조선.
남선군인(南鮮軍人)[삼팔가(三八歌) 11 페이지 / 전적]
남조선의 군인.
남성(南星), 장경성(長庚星)[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2 페이지 / 전적]
남기(南箕). 성좌(星座)로서 남방 칠수(南方七宿)의 하나, 장경(長庚). 저녁에 서쪽 하늘에 보이는 금성(金星)의 별칭.
남성이[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남생이. 수귀(水龜). 남새잇과의 한 종. 냇가나 연못가에 사는데, 거북과 비슷하지만 작음.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南星이’로 되어 있음. (참고 : 가사의 원문 중 속음(俗音)이나 변음(變音)의 표기, 또는 오자(誤字) 등은 가사의 현대역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그 표기의 예를 이처럼 제시해 둔다. 이하 다른 각주에 드는 낱말의 경우도 이와 같다.)
남세[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남우세의 준말. 남에게 받는 비웃음과 조롱.
남세[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남우세의 준말. 남에게 받는 비웃음과 조롱.
남소성(南蘇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5 페이지 / 전적]
고구려 때에, 만주의 남산성자(南山城子)에 있던 옛 성.
남수찬(南修撰)[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수찬 벼슬을 가진 남씨성을 가진 사람. 수찬은 홍문관(弘文館)의 정6품에 해당.
남수찬(南修撰)[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수찬 벼슬을 맡고 있는 남아무개.
남수찬(南修撰)[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수찬 벼슬을 맡고 있는 남아무개.
남수찬(南修撰)[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수찬(修撰) 남종순(南鐘順
남순동자(南巡童子)[금강산유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관세음보살의 왼쪽에 있는 보처존(補處尊).
남스럽고[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남 사이처럼 느껴져서 서먹서먹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