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남시렵다[칠여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남우세스럽다’의 경상도 사투리.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는 뜻.

남식(濫食)[경영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마구 먹음.

남아이십미평국(男兒二十未平國), 후세수칭대장부(後世誰稱大丈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1 페이지 / 전적]

남자 나이 이십에 나라를 평정 못하면, 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하랴, 남이장군의 북정가(北征歌)의 일부이다.

남아이팔(男兒二八)[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16세 전후의 남자 아이.

남아하처 불상봉(男兒何處不相逢)[옥단춘전이라 24 페이지 / 전적]

남자라면 어느 곳에서든지 서로 만나지 않으랴?라는 뜻.

남아하처불상봉(男兒何處不相逢)[여자석별가 10 페이지 / 전적]

남자가 어디에선들 다시 못만나랴.

남악(南嶽)[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인 형산(衡山)을 달리 이르는 말. 위부인(魏夫人) : 이름은 삭(鑠). 중국 서진(西晉)의 여류 서가(書家).

남양(南陽)[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두만강변에 있는 북한의 지명으로 맞은 편에 중국 도문(圖們)이 있음.

남양(南陽)[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제갈공명이 밭을 갈며 지냈던 곳으로 위기에 빠진 유비가 찾아와 삼고(三顧)의 예를 갖추었던 곳이다.

남양(南陽)[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제갈공명이 밭을 갈며 지냈던 곳으로 위기에 빠진 유비가 찾아와 삼고(三顧)의 예를 갖추었던 곳이다.

남양(南陽)[녁대가(녁가) 47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을 세운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가 태어난 곳.

남양(南陽)문선(文善)[심심가(尋心歌) 30 페이지 / 전적]

각각 경상남도 사천군에 속한 면(面).

남양(南陽)문선(文善)[심심가(尋心歌) 30 페이지 / 전적]

각각 경상남도 사천군에 속한 면(面).

남양처사(南陽處士)[초당춘수곡 8 페이지 / 전적]

남쪽 지방의 초야에 묻혀 벼슬을 하지 않고 사는 선비. 여기서는 작가 자신을 일컬음.

남에문지[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먼지. 남의 허물.

남여(藍輿)[면앙정가(俛仰亭歌) 6 페이지 / 전적]

뚜껑이 없는 가마.

남여(藍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藍輿」―堂上官이 타는 가마를 말한 것임.

남연년[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의령인, 조선 후기 무신

남염부주(南閻浮州)[권왕가 39 페이지 / 전적]

남염부제(南閻浮提). 염부제(閻浮提). 염부나무가 우거진 땅이라는 뜻으로, 수미산(須彌山)의 남쪽 해상에 있다는 대륙. 인간이 사는 세계를 말함.

남염부주(南閻浮州)[권왕가 51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472 참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