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남초(南草)[자소가(소가) 5 페이지 / 전적]

가지과에 딸린 한해살이 식물. 담뱃잎을 말려서 만든 살담배, 잎담배, 엽권련, 지궐련 따위의 통틀어 일컬음.

남촌(南村)[허후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쪽에 있는 마을, 조선시대에 서울 안에서 남쪽으로 치우쳐 있는 마을들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남촌(南村)[낙향이별가 9 페이지 / 전적]

남쪽에 있는 마을, 조선시대에 서울 안에서 남쪽으로 치우쳐 있는 마을들을 통틀어 이르던 말.

남추강(南秋江)[한흥가라 30 페이지 / 전적]

남효온(南孝溫). 추강(秋江)은 남효온의 호(號).

남추강(南秋江)[한흥가라 30 페이지 / 전적]

남효온(南孝溫). 추강(秋江)은 남효온의 호(號).

남추강(南秋江)[한흥가라 30 페이지 / 전적]

남효온(南孝溫). 추강(秋江)은 남효온의 호(號).

남추강(南秋江)[한양가라 23 페이지 / 전적]

추강은 남효온(南孝溫)의 호로 조선 시대의 생육신(1454~1492). 단종의 생모 현덕왕후권씨의 소릉(昭陵) 복위를 상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각지를 유랑하다 병사하였다.

남출(南出)[초한가라 22 페이지 / 전적]

남쪽으로 도망하다.

남치근(南致勤)[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0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무신(?~1570). 자는 근지(勤之). 제주, 남평 등지에서 왜구를 무찔렀으며, 황해도에서 세력을 떨치던 임꺽정을 잡아 죽였다.

남편(南便)[반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쪽의 방향.

남편거상(男便居喪) 참최(斬衰) 삼년[명륜가(明倫歌) 57 페이지 / 전적]

남편이 상을 당하면 아내는 참최복을 입어 삼년상을 지냄.

남편이 되면 아내와 화목함을 다함[삼강오륜가 서 3 페이지 / 전적]

부 지어화(夫 止於和).

남평문씨(南平文氏)[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시조는 신라 말에 태어나 고려 건국에 적극 참여했던 문다성으로 본관은 관향이라고도 하며 성씨앞에 붙은 지명이며 본관은 남평이기에 남평 문씨라고 한다.

남포(南浦)[원유가 5 페이지 / 전적]

강서성에 있는 지명. 왕발(王勃)의 등왕각 시에 나옴.

남포(南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8 페이지 / 전적]

「南浦」-친구의 送別을 말함. 王維詩에「送君南浦淚如絲」의句가 있음.

남포등[선유가라 9 페이지 / 전적]

석유를 넣은 그릇의 심지에 불을 붙이고 유리로 만든 등피를 끼운 등.

남풍(南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4 페이지 / 전적]

「南風」-南風操의 琴曲을 말함 尸子綽子에『帝舜彈五絃之琴以歌南風 其詩曰 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溫兮』라 했다 하였음.

남풍(南風) 화설(花雪) 무(舞)되니[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풍에 꽃이 눈처럼 춤을 추니.

남풍(南風) 화설(花雪) 무(舞)되니[도리산화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풍에 꽃이 눈처럼 춤을 추니.

남풍(南風)에 노래하니 대순(大舜)에 거문고라[자탄가 자탄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풍이 불어오는 5월에 순임금이 궁전인 남훈전에 앉아서 직접 만든 다섯 현의 거문고를 비스듬히 안고 남훈가(南薰歌)를 불렀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