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남우경(男優景)[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 배우의 형상.

남우세스럽다[시골여자서련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만하다.

남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龍城」―現在 南原郡의 古號임.

남원[팔역가(八域歌) 37 페이지 / 전적]

미상

남원(南原)[팔도안희가 8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원시를 말한다.

남원(南原)[육자박이 6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全羅北道)의 한 시.남원 분지(盆地)의 중심지(中心地).

남원(南原)[육자박이 6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全羅北道)의 한 시.남원 분지(盆地)의 중심지(中心地).

남원(南原)[육자박이 6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全羅北道)의 한 시.남원 분지(盆地)의 중심지(中心地).

남원(南原)[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시.

남원(南原)[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시.

남유강회(南遊江淮)[남여동락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사마자장(司馬子長)이 스무살에 남쪽 강회(江淮)에 노닌 일.

남유강회(南遊江淮)[남여동락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사마자장(司馬子長)이 스무살에 남쪽 강회(江淮)에 노닌 일.

남은(南誾)[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8 페이지 / 전적]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의 문신(1354~1398)으로 위화도 회군 때 이성계에 동조하고 정도전 등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의 개국에 협력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게 살해되었다.

남은분술을[용문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은 분(盆) 술을. 남은 항아리의 술을.

남을갓다 막기이[형제붕우소회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갖다 맡기자니.

남음(南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0 페이지 / 전적]

「南音」―南方의 音을 이름。 鍾儀는 春秋時代의 楚人인데 일찌기 鄭人에게 所 되어 晋나라에 갇힌바 되었다。晋景公이 보고서 묻기를「南冠으로 갇혀있는 자는 누구냐」하자「楚因이다」하므로 그 族을 물으니「泠人이다」했다「樂을 아느냐」물으니 「先父의 職官이다」하므로 琴을 주니 南音을 탔다。했는데 혀기는 眉巖자신이 南方의 음성을 변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쓴 것임。

남의 집 의졍말라[복션화음록 17 페이지 / 전적]

남의 집 의정(擬定)말라. 남의 집에 거짓으로 꾸며대지 말라.

남의 창을 들고 곧바로 그의 방에 들어갔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190 페이지 / 전적]

한나라 하휴(何休)가 <<춘추>>의 세 가지 전이 지닌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정현(鄭玄)이 그 말을 그대로 인용해가며 다시 하휴를 비판하였다. 그러자 하휴가 ‘강성(康成)이 내방에 들어와 내 창을 가지고 나를 찌르는구나.‘라고 하였다.

남의눈의 귀인업고[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남의 눈에 귀인이 되지 못하고.

남의집 의졍말라[효봉구고치산가 16 페이지 / 전적]

남의집 의정(擬定)말라. 남의 집에 거짓으로 꾸며대지 말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