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훈(南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7 페이지 / 전적]
「南薰」―禮 樂記에『昔者舜作五絃之琴 以歌南風』이라 했고、鄭註에『南風은 長養의 風이니 父母가 자기를 長養한 것을 말함이다。그 辭는 들은바 없다』하였는데 家語 및 尸子에는 『昔者舜彈五絃之琴 其辭曰 「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慍兮 南風之時兮 可以阜吾民之財兮」』라 하였음。
남훈곡(南薰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9 페이지 / 전적]
「南薰曲」 ― 家語에 「舜彈五絃之琴 歌南風之詩 其時曰 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慍兮 南風之時兮 可以卓吾民之財兮」라 하였음.
남훈곡(南薰曲)[석천집(石川集二-三)2-3 111 페이지 / 전적]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가명(歌名). 남풍지훈(南風之薰)의 간칭.
남훈전(南薰殿)[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순(舜)이 거문고를 타던 궁전(宮殿).「舜歌南薰之歌而民勃而興」
남훈전(南薰殿)[역대가라(역가라) 5 페이지 / 전적]
순(舜) 임금의 궁전.
남훈전(南薰殿)[녁대가(녁가) 12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이 남풍시를 짓고 오현금을 타던 궁전.
남훈전기[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28 페이지 / 전적]
남훈전은 당 현종(唐玄宗)이 건립한 전각(殿閣). 남훈은 옛날 순제(舜帝)가 줄이 다섯개인 오현금(五玄琴)을 만들어 읊었다는 남풍시(南風詩)의‘남풍지훈혜(南風之薰兮)‘에서 따온 것으로 그 내용은‘남풍의 훈훈함이여 우리 백성들의 성냄을 풀어주며, 남풍이 때에 맞게 불어줌이여 우리 백성들의 재물을 풍성하게 해 준다〔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慍兮 南風之時兮 可以阜民之財兮〕‘하였다. 이 기문(記文)은 고봉이 의작(擬作)한 것으로 보인다. 남훈전기 (南薰殿記)
남훈조(南薰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6 페이지 / 전적]
「南薰」― 舜의 五絃琴의 南風調를 말함. 見上.
남훈조(南薰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7 페이지 / 전적]
「南薰」― 舜의 五絃琴의 南風調를 말함. 見上.
남흔[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은.
남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남우세나. 남에게 우세나.
남나[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남우세나. 남에게 우세나.
남경물[셕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다른 경물(景物). 다른 경물. 남자의 경물. ‘경물’은 시절에 따라 달라지는 풍경.
남업난 조남[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 없는 조남매(遭男妹). 남에게 없는 남매의 만남.
남들은 장녹자 안니련가[형제붕우소회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들은 성장녹장(成長祿爵) 아니런가.
남못 니로[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못된 한(恨)이로다. 남자가 못된 한이로다.
남룩[셕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일수록.
남난일[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하는 일.
납극(蠟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2 페이지 / 전적]
「蠟屐」-밀칠을 한 나막신을 말함. 東晋사람 阮孚의 故事로 世說 雅量에 보이는대 『或人이 阮孚를 찾아가니 阮孚는 몸소 불을 불어 屐에 蠟을 칠하면서 인해 탄식하기를 「생전에 몇켤레의 蠟屐을 신게 될런지 모르겠다(未知一生 當著幾兩屐)』
납량(納涼)[ 1 페이지 / ]
서늘맞이, 땀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