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2,070개

내 나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4 페이지 / 전적]

「三紀」― 十二年이 一紀가 됨. 國語 晋語에「畜力一紀」라 했고그 註에 「十二年이면 歲星이 一周하여 一紀가 된다」라 하였음.

내 요리하는 솜씨를[석천집(石川集二-二)2-2 138 페이지 / 전적]

재상이 나라를 다스리는 솜씨를 가리킨다. 은나라의 어진 재상 이윤(伊尹)이 처음 탕왕을 만날 때에 솥과 도마를 지고 가서 음식요리를 예로 들어 설득했다고 한다.

내(乃)[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이에

내(來)한[상사금실가 4 페이지 / 전적]

‘내(來)’는 ‘돌아오다’는 의미가 지님. 해마다 나이를 먹는 것을 뜻함.

내(來)한[상사금실가 4 페이지 / 전적]

‘내(來)’는 ‘돌아오다’는 의미가 지님. 해마다 나이를 먹는 것을 뜻함.

내가되고[자탄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냇물이 되고.

내간(內間)[송강집(松江集七)7 21 페이지 / 전적]

내궁(內宮)을 이름.

내공(箂公)[송강집(松江集六)6 25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구준(寇準)이 적소(謫所)로부터 들어옴을 이름.

내공(來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외국 또는 속국의 사신이 찾아와서 공물을 바침.

내구(內舅)[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외숙을 이르는 말.

내궁(內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5 페이지 / 전적]

황후(皇后)나 왕후(王后)가 거처하던 궁전.

내금(內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7 페이지 / 전적]

「內禁」- 內禁衞의 略稱인데 벼슬 이름임.

내금위(內禁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임금을 호위하던 군대. 궁궐을 지키는 금군(禁軍)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태종 7년(1407)에 설치하였다. 조선 후기에 겸사복(兼司僕), 우림위(羽林衛)를 합쳐 금군청(禁軍廳)이 되었다.

내내당[복션화음록 4 페이지 / 전적]

나의 내당(內堂)이. 나의 어머니의 뜻인 듯하다.

내내로[화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오래.

내념(內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9 페이지 / 전적]

마음 속의 생각.

내단[팔역가(八域歌) 38 페이지 / 전적]

신선되는 단련

내닫으니[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갑자기 밖이나 앞으로 힘차게 뛰어나감.

내당(內堂)[벽천가 20 페이지 / 전적]

안방.

내동(來同)[팔도가 12 페이지 / 전적]

함께 와서 모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