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연석(宴席)[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잔치를 베푸는 자리.

연석(宴席)[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잔치를 베푸는 자리.

연성(連城)의 벽(璧)[송강집(松江集一)1 4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화씨(和氏)가 발견한 보옥임. 연성벽(連城壁)이란 그 가치가 수 성(數城)의 가치와 비등하다는 것임.

연소(燕昭)[석천집(石川集二-三)2-3 139 페이지 / 전적]

연소축대(燕昭築臺). 연소왕이 대(臺)를 쌓고 어진 인재를 초빙해서 나라를 구했던 일. 연소왕은 연나라가 제(齊)나라와의 싸움에서 진 후에 즉위했다. 그는 몸소 후한 예로 곽외(郭隗), 악의(樂毅), 추연(鄒衍), 극신(劇辛) 등의 훌륭한 인재를 초빙해 궁성(宮城)을 쌓고 백성들과 동고동락(同苦同樂)하면서 제나라를 물리쳤다.

연소부닌[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연소 부인. 연소한 부인. 젊은 부인.

연소옥정(燕巢玉灯)[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7 페이지 / 전적]

제비가 둥지를 트는 것과 같은 모양의 옥등잔.

연속부절(連續不絶)[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4 페이지 / 전적]

끊이지 않고 계속 이어짐.

연속불식(連續不息)[한양가라 27 페이지 / 전적]

쉼없이 계속.

연수(延壽)[뎡슝샹회방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더욱 더 수명(壽命)을 늘여 나감.

연수(硯水)[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벼룻물.

연수(硯水)[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벼룻물.

연숙(軟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29 페이지 / 전적]

「軟熟」-性情이 자나치게 柔和하여 俗을 거스리지 않은 것을 이름. 唐書忠義傳에 『非烈丈夫 曷克爲之 彼委靡軟熟 偸生自私者 眞畏人也哉』라 했음.

연시(燕市)[송강집(松江集一)1 102 페이지 / 전적]

燕市悲歌. 韓愈 送董邵南序에「燕趙多悲歌慷慨之士」라 하였음.

연신(連信)[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4 페이지 / 전적]

편지나 연락.

연심(年深)[리행소챙가 32 페이지 / 전적]

나이가 많음, 연로.

연심(年甚)[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 많은.

연심(年甚)[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이 많은.

연심세구(年深歲久)[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세월(歲月)이 매우 오램.

연아백전[효부가 21 페이지 / 전적]

의미가 분명하지 않으나 연아 지방에서 나오는 ‘백전’ 곧 흰 비단 같이 그 색깔이 몹시 흰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닌가 한다.

연악(燕樂)[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4 페이지 / 전적]

연회에서 연주하는 음악.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