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연옥(煉獄)[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충신 문천상(文天祥)이 연옥(燕獄)에 갇혀 있으면서 음소집(吟嘯集)을 지었다.
연우(煉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8 페이지 / 전적]
「煉雨平林」― 五曲의 「長時煙雨暗平林」을 말한 것임.
연운(淵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3 페이지 / 전적]
「淵雲」― 漢의 文章家로 王褒의 字는 子淵이요, 楊雄의 字는 子雲인데 이를 合稱하여 淵雲이라 일컬음.
연원(淵源)[옥산가라 22 페이지 / 전적]
사물의 근원.
연원도통(淵源道統)[경화가(警和歌) 60 페이지 / 전적]
도(道)의 근원을 이루는 것을 연원(淵源)이라 하고, 이 연원에서부터 전수 되는 계통을 ‘도통(道統)’이라고 함.
연원도통(淵源道統)[경화가(警和歌) 60 페이지 / 전적]
도(道)의 근원을 이루는 것을 연원(淵源)이라 하고, 이 연원에서부터 전수 되는 계통을 ‘도통(道統)’이라고 함.
연원도통(淵源道統)[창덕가2 78 페이지 / 전적]
도가 비롯된 근원과 그 도가 이어지고 전해지는 계통.
연원도통(淵源道統)[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도가 비롯된 근원과 그 도가 이어지고 전해지는 계통.
연월(煙月)[별한가 8 페이지 / 전적]
① 연기에 어린 은은한 달빛. ② 세상이 매우 태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연월(燕越)[송강집(松江集四)4 74 페이지 / 전적]
거리가 서로 먼 것을 의미하는 말
연월烟月[ 1 페이지 / ]
희미한 달빛.
연월일(年月日)[효자가 8 페이지 / 전적]
효자 전우창과 장부인이 단지한 연월일을 말함. 위에서는 그 연월일이 같다고 하였으나, 「아곡전공연보」에서는 장부인의 단지가 전우창보다 2년 앞섰다고 하였다.
연유(緣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9 페이지 / 전적]
원인, 이유, 까닭.
연유(緣由)[무제(양신택졍하여) 10 페이지 / 전적]
말미암아 옴.까닭.
연의(漣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3 페이지 / 전적]
「漣漪」-詩經 魏風 代檀에 「坎坎代檀兮 寘之河之于兮」라는 句가 있는데 이 詩는 稼穡하여 自力으로 得食하고자 하는 자의 所作임。
연일(宴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9 페이지 / 전적]
「宴昵」-宴은 宴安이요 昵은 昵比를 말함。
연일(連日)[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6 페이지 / 전적]
여러 날을 계속함.
연일정씨(延日鄭氏)[옥산가라 11 페이지 / 전적]
정의경을 시조로 하고 정보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하동군의 세거 성씨.
연잎 위 구슬 머금었나[경술가 8 페이지 / 전적]
또렷하고 시원스런 이목구비 등 원자의 생김새를 찬미하는 구절임.
연자(燕子)[사친가1(思親歌(一)) 3 페이지 / 전적]
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