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연안(延安)[장씨부인역사라 5 페이지 / 전적]
황해도에 있는 읍.
연안(延安)[장씨부인역사라 5 페이지 / 전적]
황해도에 있는 읍.
연안(延安)[김씨효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황해도에 있는 읍. 연백평야의 중심지로, 농산물 유통이 발달하였고 온천이 있음. 연백군의 군청 소재지임. 면적은 21.64㎢.
연안백천(延安白川)[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연안의 황해도 연백군에 있으며, 백천은 황해도 연안 북동쪽에 있음.
연애(涓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4 페이지 / 전적]
「涓埃」―微末을 비유한 것임. 杜甫詩에「美有涓埃答聖朝」의 句가 있음.
연어(淵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7 페이지 / 전적]
「淵魚」― 詩經 小雅 鶴鳴에 「魚在于渚 或潛在淵」이라 했는데 註에 「理란 定在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했음.
연어(鳶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 페이지 / 전적]
鳶魚」- 詩經 旱麓에「鳶飛戾天 魚躍于淵 豈帝君子 遐不作人」이란 章이 있는데 이는 詩人이 文王의 作人의 盛德을 詠歌함임. 즉 솔개는 하늘에 날고 고기는 못에 뛰는 것과 같이 上下가 다 즐거워함을 말함.
연어(鳶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鳶魚」― 詩經 大雅 旱麓에 「鳶飛戾 天魚躍于淵」이라 했는데, 이는 솔개가 하늘에서 날고 고기가 못에서 뛰어 위아래가 각각 그 편안한 자리를 얻었다는 뜻임.
연어(鳶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25 페이지 / 전적]
詩經 大雅 早麓에 「鳶飛戾天 魚躍于∝ 豈弟君子 ∝不作人」이라는 章이 있는데 小序에 「이는 文王의 作人의 德을 詠歌한 것이라」하였음. 위에 보임.
연어(鳶魚)[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8 페이지 / 전적]
「鳶魚」― 詩經 大雅 旱麓에 「鳶飛戾天 魚躍于淵」이 있는데 中庸費隱章에 子思는 이를 인용하여 「詩云鳶飛戾天魚躍于淵上下祭也」라 하였다. 이에 대해 註에는 「化育하고 流行하여 上下가 昭著함은 이 理의 用이 아님 없다는 것을 밝혔으니 이른 바 費다. 그러나 그렇게 되는 것은 見聞의 미칠바 아니니 이른바 隱이다」라 하였다.
연어(鳶魚)[봉션화가 3 페이지 / 전적]
연비어약(鳶飛魚躍)의 준말.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뛴다는 뜻으로, 온갖 동물이 생을 즐김을 이르는 말.
연어鳶魚[ 1 페이지 / ]
연비어약鳶飛魚躍을 말함. 자연스럽게 하늘에 솔개가 날고, 물속에 고기가 뛰노는 것과 같은 천지조화의 작용이 오묘함을 이름. 숙종 4년(1678)에 이민서가 쓴[소쇄원양공행장瀟灑圓梁公行狀]에서는 위에 든 시전.결구의 내용을 양산보의 평소 신념인 것으로 소개하였다.
연역(煙役)[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9 페이지 / 전적]
연호잡역(煙戶雜役). 민가의 매호에 부과하던 여러 가지 부역(賦役).
연연(娟娟)[ 1 페이지 / ]
곱고 아름다운 모양
연연(娟娟)[답사향곡(답향곡) 8 페이지 / 전적]
빛이 엷고 산뜻하며 고움.아름답고 어여쁨.
연연(戀戀)[회경가 12 페이지 / 전적]
집착하여 미련을 버리지 못함
연연(戀戀)[당산조션가 10 페이지 / 전적]
미련이 남아서 잊지 못함.
연연(戀戀)[어와따님요(어와님요) 1 페이지 / 전적]
미련이 남아서 잊지 못함.
연연불망(戀戀不忘)[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그리워서 잊지 못함.
연연불망(戀戀不忘)[조심가라 20 페이지 / 전적]
그리워서 잊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