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영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靈烏輸士」-徐廣의 孝子傳에 巴郡사람 文壤의 母가 죽자 兄弟二人이 葬事를 경영하며 僮僕의 힘을 使用하지 않기로 하는데 葬日에 당하여 數千의 羣烏가 土壤을 물고 와서 成境을 도왔음.
영한 것[형제붕우소회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령(神靈)스러운 것.
영한그시 람이라[형제붕우소회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영(靈)한 것이 사람이라.
영해(領海)[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 페이지 / 전적]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범위.
영허(盈虚)[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천체의 빛이 그 위치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현상.
영허지리(盈虛之理)[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가득 찼다가 비워지는 이치, 즉 천지만물이 성하고 쇠하여 순환하는 이치. 일반적으로는 주로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말함.
영허지리(盈虛之理)[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6 페이지 / 전적]
가득 찼다가 비워지는 이치, 즉 천지만물이 성하고 쇠하여 순환하는 이치. 일반적으로는 주로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말함.
영허지리(盈虛之理)[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가득 찼다가 비워지는 이치, 즉 천지만물이 성하고 쇠하여 순환하는 이치. 일반적으로는 주로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말함.
영허지리(盈虛之理)[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6 페이지 / 전적]
가득 찼다가 비워지는 이치, 즉 천지만물이 성하고 쇠하여 순환하는 이치. 일반적으로는 주로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말함.
영형[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1 페이지 / 전적]
김조근(金祖根)을 잘못 쓴 것으로, 김조근(1793~1844)은 딸이 헌종의 비로 책봉되자 벼슬이 영돈령부사에 올랐으며, 안동김씨 세도의 기반을 마련하였음.
영호(永好)[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오래 서로 사이좋게 지내다.
영호(英豪)[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영웅호걸(英雄豪傑)의 준말.
영호수[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거창읍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영천(일명 위천천)과 거창읍의 동쪽을 남으로 흐르는 아월천이거창읍 대동리와 양평리 사이에서 합류하여 황강이 되는데, 영천과 아월천이 합류된 것을 영호수(영호강)이라 함.
영호열친(永好悅親)[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부모를 사람하고 기쁘게 함.
영혼(靈魂)[한양가라 22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넋.
영혼열백(靈魂烈魄)[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죽은 이의 넋과 지조 있는 혼백.
영혼열백(靈魂烈魄)[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죽은 이의 넋과 지조 있는 혼백.
영혼열백(靈魂烈魄)[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죽은 이의 넋과 지조 있는 혼백.
영혼열백(靈魂烈魄)[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죽은 영혼과 지조있는 혼백.
영화(榮華)[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4 페이지 / 전적]
몸이 귀하게 되어 이름이 세상에 빛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