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영접(迎接)[몽별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손님을 맞아서 대접하는 일.

영접(迎接)[한양가라 74 페이지 / 전적]

손님을 맞아서 대접함.

영접(迎接)[신힁가라 12 페이지 / 전적]

손님을 맞아서 대접하는 일.

영접(迎接)[별한가 31 페이지 / 전적]

손님을 맞아서 대접하는 일.

영젼젹[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2 페이지 / 전적]

영전(靈前)할적에. 조상 신령께 나아가 뵈올 적에.

영조(英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1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1대 왕(1694~1776). 이름은 금(昑). 자는 광숙(光叔). 호는 양성헌(養性軒). 탕평책을 써서 당쟁 제거에 힘썼고, 균역법의 시행, 신문고의 부활, ≪동국문헌비고≫ 등의 편찬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재위 기간은 1724~1776년이다.

영좌(令佐)[송강집(松江集三)3 53 페이지 / 전적]

감목수령(監牧守令) 등을 이름.

영주(瀛州)[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삼신산의 하나인 영주산(瀛州山).

영주(瀛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瀛洲」― 三神山의 하나임.

영주(瀛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9 페이지 / 전적]

「瀛洲壓臣鰲」-玉堂에서 名聲을 크게 드날렸다는 말임。

영주(瀛洲)[석천집(石川集二-五)2-5 67 페이지 / 전적]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서 동해 중에 신선이 산다는 곳이다.

영주(瀛洲)[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전설 상 신선이 기거했다는 동해(東海) 속의 산.

영주瀛洲[ 1 페이지 / ]

봉래蓬萊, 방장方丈 등과 함께 전설상 삼신산三神山으로 일컫는 신선 세계의 하나.

영주각(瀛洲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7 페이지 / 전적]

「瀛洲閣」-弘文舘 玉堂을 말함。

영주각(瀛洲閣)[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홍문관(弘文館)의 별칭(別稱).

영주각(瀛洲閣)[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삼신산에 있는 누각.

영주각(瀛洲閣)[팔도가 4 페이지 / 전적]

삼신산에 있는 누각.

영주각(瀛洲閣)[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신산에 있는 누각.

영주봉래(瀛州蓬萊)[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이 산다는 영주산과 봉래산을 말함.

영주봉래(瀛州蓬萊)[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이 산다는 영주산과 봉래산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