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영주봉래(瀛洲蓬萊)[자치가 27 페이지 / 전적]
영주산, 봉래산.중국의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이름.
영주산(瀛州山)[춘몽가(츈몽가) 34 페이지 / 전적]
중국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세 신산(神山)으로 봉래산(蓬萊山) ·방장산(方丈山) ·영주산(瀛洲山).
영주산(瀛州山)[춘몽가(츈몽가) 34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진시황과 한 무제가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사신을 보냈다는 가상의 선경(仙境).
영중(郢中)[송강집(松江集七)7 143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의 수도(首都)
영중추(領中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중추부의 으뜸 벼슬. 정일품의 무관 벼슬이다.
영창(榮昌)[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8 페이지 / 전적]
번창함. 영화스럽고 창성함.
영창대군(永昌大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7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의 아들(1606~1614). 이름은 의(㼁). 정비(正妃) 인목 왕후(仁穆王后)의 소생이었으나 이이첨 등의 무고로 강화에 유배되어 죽임을 당하였다.
영척(寧戚)[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영척(甯戚). 중국 춘추시대 위(衛)나라 사람. 집이 가난하여 남에게 고용되어 소의 수례를 끌고 다니며 호구지책을 삼음. 제(齊)나라에 이르러 소의 뿔을 두드리며 큰 소리의 고가(高歌)를 불렀는데, 환공(桓公)에게 발견되어 신임을 얻고 대부(大夫) 가 되었다. 영척 구각(甯戚扣角)은 이같은 영척의 고사에서 연유한 말이다.
영척(寧戚)[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제(齊)나라 때의 사람.
영척(寧戚)[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제(齊)나라 때의 사람.
영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4 페이지 / 전적]
「靈川墨竹」― 申潛의 字는 元亮, 號는 靈川子요 高靈人으로 禮叅 從謢의 子인데, 弘治 辛亥에 生하여 已卯에 文科에 合格하고 藝文舘檢閱에 補職되었다 文章 藝術에 있어 無所不能하여詞詩가 高古하고 工草隷 善蘭竹하여 세상에서 三絶이라 일컬었다. 明宗甲寅에 六十四歲로 卒하였음.
영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6 페이지 / 전적]
「靈川」-靈川子 申潜을 말함. 위에 자상히 나타나 있음.
영천(永川)[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潁川)[녁대가(녁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에 있는 강 이름. 허유가 귀를 씻었다고 함.
영천(靈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9 페이지 / 전적]
「靈川」― 靈川子 申潛을 말함. 申潛은 文章藝術에 두루 能하여詞詩가 高古하고 晩境에는 草隷에 工하며 또 蘭竹을 잘 그려서 世人이 三絶이라 稱하였음 高靈人임.
영천(靈輤)[송강집(松江集二)2 170 페이지 / 전적]
영구(靈柩).
영천군 효정 땅에[친목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현재의 慶北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로 추측.
영천의[석천집(石川集二-二)2-2 165 페이지 / 전적]
신잠(申潛)이다.
영천이문[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영천 이씨 가문.
영철(映徹)[권왕가 5 페이지 / 전적]
비치어 빛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