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영체(零替)[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 페이지 / 전적]

영락(零落)과 같은 말로 세력이나 살림이 줄어들어 보잘것 없음.

영체(零替)하여[복션화음록 5 페이지 / 전적]

영락(零落)하여. 사정이 어렵게 되어.

영체(零替)야[효봉구고치산가 6 페이지 / 전적]

영락(零落)하여.

영체(靈體)[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령스러운 몸.

영쳔셩[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영천(永川)백성. 영천의 백성. 영천은 경상도 지명.

영초단(英綃緞)[벽천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한 종류.

영추(靈湫)[ 1 페이지 / ]

맑은 물, 용이 사는 못

영추(靈湫)[석천집(石川集二-五)2-5 131 페이지 / 전적]

깊고 푸르러 흔히 용(龍)이 산다고 전해 오는 신비함을 느끼게 하는 늪. 수지(水池).

영추문(迎秋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서문(西門)으로 일반 관원들이 출입하였다.

영축산(靈鷲山)[나웅하상토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용어로 고대 인도 마갈타국(摩竭陀國)의 왕사성 동북쪽에 있는 산. 석가모니여래가 법화경과 무량수경을 강(講)하였다는 곳이다. 비슷한 말로 영산(靈山), 취령(鷲嶺), 취산(鷲山)이 있음.

영췌휴척(榮悴休戚)[송강집(松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영달궁척(榮達窮戚).

영친(榮親)[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부모를 영화롭게 하는 것.

영친왕(英親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6 페이지 / 전적]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1897~1970)로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귀비 엄씨(貴妃嚴氏).

영탈(穎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穎脫」-秀出한 모양을 말함。史記 平原君傳에 「譬若錐之處囊中乃頴脫而出 非特 其末見而巳」라 하였음。穎은 錐末인데 그 全軆의 脫出을 말한 것임。

영탈(穎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7 페이지 / 전적]

붓동이 대롱에서 빠짐을 말함.

영평……있었다[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7 페이지 / 전적]

영평은 동한 명제 (東漢明帝)의 연호임. 문왕이 영대를 만들어 천기를 살피던 뜻을 명제도 했다는 것이다. 벽옹은 천자의 학궁이다. 《通鑑 後漢紀》에 ‘영평 2년 정월에 광무 (光武)를 명당 (明堂)에 제사지내고 영대에 올라 운물 (雲物)을 바라보았으며, 3월에는 벽옹에 임해서 대사례 (大射禮)를 행했다.‘고 하였다

영평부(永平府)[연행별곡(연별곡) 18 페이지 / 전적]

하북성(河北省) 노룡현(盧龍縣).옛 우북평(右北平)으로 산해관 서쪽 150리에 있음.

영평읍(永平邑)[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경기도에 있던 옛 행정구역으로 가평에서 연천 사이에 위치했던 곳이다.

영풍(泠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1 페이지 / 전적]

「泠風」맑고 서늘한 바람을 말함 莊子逍遙遊에「列子御風而行 旬有五日而返 泠然善也」라 하였음.

영풍(英風)[회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영웅스러운 모습이나 자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