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방아미(午方娥媚)[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남방에 있는 아미(娥媚) 모양의 사(砂) 형세. ‘아미’는 눈썹 모양의 형세인데 혈(穴)위에 있으면 아름다고 귀한 여자의 형국이다. 여기서는 남방인 혈(穴)아래 있으므로 좋지 않은 형국임.
오방아미(午方娥媚)[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남방에 있는 아미(娥媚) 모양의 사(砂) 형세. ‘아미’는 눈썹 모양의 형세인데 혈(穴)위에 있으면 아름다고 귀한 여자의 형국이다. 여기서는 남방인 혈(穴)아래 있으므로 좋지 않은 형국임.
오백 겁(五百劫)[권왕가 27 페이지 / 전적]
오백 진점겁(五百塵點劫)의 준말. 측량할 수 없는 무한한 시간.
오백 억천(五百億千)[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를 이름. 오백(五百) : 불가어(佛家語)에서 보는 오백계(五百戒), 오백생(五百生), 오백진점겁(五 百塵點劫) 등에서와 같이, ‘온갖, 몇 번이고 자주, 측량할 수 없이 한없는’ 등 그 수가 많음을 헤아리게 하는 데에 쓰는 말. 억천(億千) : 억만(億萬). 억천만(億千萬). 썩 많은 수효.
오백(五伯)[석천집(石川集二-三)2-3 110 페이지 / 전적]
오패(五覇). 제환공(齊桓公), 진문공(晉文公), 송양공(宋襄公), 진목공(秦穆公), 오부차(吳夫差) 다섯 사람을 말한다.
오백겁(五百劫)[권왕가 3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331 참조.
오백동자[초암가 4 페이지 / 전적]
『화엄경』, 「입법계품」에 나오는 보살들로 선재동자도 이 중 하나임.
오백세 복락(五百歲福樂)[권왕가 20 페이지 / 전적]
500년 동안의 행복과 안락.
오백세(五百世)[옥셜화답 7 페이지 / 전적]
오백년.
오복 구전[효부가 4 페이지 / 전적]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의 다섯 가지 복을 두루 갖춘 것
오복(五服)[송강집(松江集三)3 109 페이지 / 전적]
참최(斬衰) 재최(齋衰) 대공(大功) 소공(小功) 시(緦)를 이름.
오복(五福)[의향소창가 5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 복.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을 이름.
오복(五福)[수연가(수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복.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말함.
오복(五福)[리행소챙가 1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 복.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을 이름.
오복(五福)[수연가(수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복.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말함.
오복(五福)[한탄가 1 페이지 / 전적]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의 다섯 가지 복.
오복(五福)[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복.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이르는데, 유호덕과 고종명 대신 귀(貴)함과 자손이 중다(衆多)함을 꼽기도 한다.
오복(五福)[뎡슝샹회방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인생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 복.
오복(五福)[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의 복. 곧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아울러 이르는 말. 유호덕과 고종명 대신 귀(貴)와 자손중다(子孫衆多)를 꼽기도 함.
오복(五福)[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유교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의 복을 뜻하는 말로 보통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이르는데, 유호덕과 고종명 대신 귀(貴)와 자손중다(子孫衆多)를 꼽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