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오색당사(五色唐絲)[복션화음록 10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들어온 다섯 색깔의 명주실.

오색당사(五色唐絲)[복션화음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오색으로 된 중국에서 들여온 명주실.

오색반란(五色斑斕)[양친가(養親歌) 5 페이지 / 전적]

울긋불긋한 화려한 무늬의 색동 비단옷

오색반의(五色班衣)[충효가(忠孝歌) 24 페이지 / 전적]

다섯가지 색으로 나뉘어진 어린아이들이 주로 입는 옷. 색동저고리.

오색반의(五色班衣)[대동가(동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오색으로 만든 색동저고리.

오색반의(五色班衣)[뎡슝샹회방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빛깔의 옷감을 모아서 지은 어린아이의 때때옷

오색우(五色羽)[송강집(松江集二)2 32 페이지 / 전적]

봉황(鳳凰)을 말한 것임. 여기서는 주인이 봉황의 문장을 품었다는 뜻.

오색채운(五色彩雲)[두껍전이라(겁젼이라) 4 페이지 / 전적]

다섯 가지 색깔의 아름다운 구름.

오색채운(五色彩雲)[죽엽가(쥭엽가) 4 페이지 / 전적]

다섯 가지 색깔의 아름다운 구름.

오색채의(五色彩衣)[봉별가 15 페이지 / 전적]

다섯가지 빛깔과 무늬가 있는 옷.

오성(五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0 페이지 / 전적]

「五性」―仁義禮智信을 말함. 이 다섯가지는 사람의 固有의 性임.

오성(五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5 페이지 / 전적]

「五星」- 金, 木, 水, 火, 土의 五行星을 말함.

오성(五星)[낙향이별가 3 페이지 / 전적]

태양계에서 지구에 가까운 다섯 개의 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을 이른다.

오성(鰲城) 한음(漢陰)[안심가 11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 활동한 인물인 오성 이항복과 한음 이덕형.

오성대발(五姓大發)[그리져리구경하고 7 페이지 / 전적]

다섯 개의 성(姓)이 크게 일어남.

오성사적[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오성군 이항복의 사적

오성위(五聖位)[효성가라 2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의 다섯 성인(聖人). 황제(黃帝) 요(堯), 순, 우(禹), 탕(湯)왕 등과 함께 문묘(文廟)에 제사하는 다섯 성인으로, 공자(孔子),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를 말함.

오성취규(五星聚奎)[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송태조(宋太祖) 건덕오년(乾德五年) 여름 오행성(五行星)이 연주(連珠)가 되었고 천하가 이로부터 태평해졌음.

오성취규(五星聚奎)[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송태조(宋太祖) 건덕오년(乾德五年) 여름 오행성(五行星)이 연주(連珠)가 되었고 천하가 이로부터 태평해졌음.

오성한음(鰲城漢陰)[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오성은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이며, 한음은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을 말한다. 두 사람은 같은 해에 과거에 합격하여 조정에서 같이 벼슬을 하였지만, 서로 경쟁관계임을 잊고 세상을 뜨는 날까지 난국을 해결하는 데 지혜를 발휘하여 임진왜란과 광해군의 폭정을 극복해냈다. 또한 두 사람은 관포지교(管鮑之交)에 비견될 만큼 아름다운 친구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