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오세(五歲)[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다섯 살.

오세(五歲)[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다섯 살.

오쇠고(五衰苦)[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하늘을 날아다니며 하계(下界) 사람과 왕래한다는 여자 선인(仙人〓 천인(天人)이 죽으려 할 때 겪는 다섯 가지 쇠퇴의 고통. 오쇠(五衰) : 천인 오쇠(天人五衰). 하늘을 날아다니며 하계(下界) 사람과 왕래한다는 천 인이 복락(福樂)을 다하여 죽으려 할 때 나타나는 다섯 가지의 쇠퇴의 모양. 곧, 몸에 서 나던 광명이 흐려지고,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몸에서 나쁜 냄새가 나며, 화만(華 鬘)이 마르고, 제자리가 즐겁지 않게 되는 일.

오수(吳水)에 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8 페이지 / 전적]

「龍分劍」-晋書張華傳에 의하면 『雷煥이 豊城縣에서 雙劍을 얻어 하나의 張華에게 보내주고 하나는 자신이 차면서 하는 말이「靈異한 物은 終當化去하기 마련이요 길이 사람의 所用으로 남아있지 않는다」했다. 靈煥이 죽자 그 아들이 그 劍를 차고서 延平津을 지나가는데 칼이 허리사이에서 躍出하여 물에 떨어지므로 사람을 시켜 찾게 한바 단지 두마리 龍이 각각 두어 발 되는 것만 보였을 뿐이다』라 했음.

오슈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오십이. 문맥상으로 ‘오슈’는 ‘오십’이라는 뜻으로 이해됨.

오시(午時)[갑지녹이라 8 페이지 / 전적]

상오 열한 시부터 하오 한 시까지.

오시(娛尸)[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6 페이지 / 전적]

시체를 희롱함.

오시가[화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점심 때

오신명(誤信命)[자치가 13 페이지 / 전적]

몸과 목숨을 그르침.

오신채(五辛菜)[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5 페이지 / 전적]

오훈채(五葷菜). 다섯 가지의 자극성이 있는 채소.

오심력(吾心力)을 미진(未盡)이니[신도가(臣道歌) 3 페이지 / 전적]

내 마음의 힘을 다 하지 않으니.

오십(五十)[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1 페이지 / 전적]

순조의 향년은 45세로 잘못 쓴 것임.

오십(五十)에 종신모(終身慕)는[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오십삼 선지식(善知識)[초암가 4 페이지 / 전적]

선재동자가 불도(佛道)를 구하기 위해 천하를 돌아다니는 동안 만나서 가르침을 받았던 53명을 가리킴.

오십죽초립(五十竹草笠)[송강집(松江集七)7 133 페이지 / 전적]

대나무를 五十씨로 하여 얽은 초립(草笠)

오십천(五十川)[관동별곡 14 페이지 / 전적]

죽서루 아래를 흐르는 구불구불한 형상의 냇물.

오십천(五十川)[석천집(石川集二-三)2-3 55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삼척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이 강가에 관동팔경의 하나인 죽서루가 있다.

오십토(五十土)[궁장가(宮墻歌) 5 페이지 / 전적]

천오생토(天五生土)에 지십성지(地十成地)를 말한다.

오십토(五十土)[권션지로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하도낙서에 나온 방위. 곧 중(中).

오악[팔역가(八域歌) 7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유명한 5산, 동악-태산, 서악-화산, 남악-형산, 북악-항산, 중악-숭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