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운(五雲)[경춘곡 3 페이지 / 전적]
오색구름.
오운안(五雲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안대(案臺)가 옥색 채운같이 수려하고 아름다움.
오운조기(五雲朝起)[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7 페이지 / 전적]
오색 구름이 아침에 일어나다.
오월명조(五月鳴蜩)[쳥츈상심곡(쳥츈심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5월이면 매미울음. 시경(詩經) 빈풍(豳風) 칠월(七月)장에 나오는 구절.
오월불열의청추(五月不熱疑淸秋)[화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이백(李白)의 시 <양원음(梁園吟)>의 한 구절로 오월인데 덥기는커녕 가을인가 싶은데 라는 뜻.
오월양구(五月羊裘)[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엄자릉은 제나라로 달아나서 오월 더위에 양의 가죽을 덮어쓰고 고기를 잡아먹고 살았음. 동문인 광무제가 찾았으나 엄자릉은 숨어서 나오지 않았음.
오월양구(五月羊裘)[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엄자릉은 제나라로 달아나서 오월 더위에 양의 가죽을 덮어쓰고 고기를 잡아먹고 살았음. 동문인 광무제가 찾았으나 엄자릉은 숨어서 나오지 않았음.
오위(五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3년에 개편을 시작하여 문종 때에 완성한 중앙 군사 조직으로 다섯 위(衛)로 개편하였는데, 중위(中衛)로 의흥(義興), 좌위(左衛)로 용양(龍驤), 우위(右衛)로 호분(虎賁), 전위(前衛)로 충좌(忠佐), 후위(後衛)로 충무(忠武)를 두고, 한 위를 다섯 부(部), 한 부를 네 통(統)으로 나누어, 전국의 군사를 모두 여기에 속하게 하였다.
오위도총부(五衛都總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오위(五衛)의 군무를 맡아보던 관아이다. 중앙의 최고 군사 기관으로, 세조 3년(1457)에 둔 오위진무소를 세조 12년(1466)에 고친 이름이다.
오위편정(五位偏正)[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선종(禪宗)의 조동종(曹洞宗)에서 말하는 정편(正偏)의 다섯 가지 진위. 차별의 정위(正位)와 무차별의 편위(偏位)를 기본단위로 다섯 가지 지위를 설정한 것.
오위한(吳魏漢)[역대삼재가라 8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위(魏) ·촉(蜀) ·오(吳) 3국의 정사(正史). 진(晉)나라의 학자 진수(陳壽:233∼297)가 편찬한 것으로,《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와 함께 중국 전사사(前四史)로 불린다.
오유(五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8 페이지 / 전적]
陶淵明의 五柳先生傳에 「宅邊有五柳樹 因以爲號焉」이라 하였음.
오유(遨遊)[인일가라 6 페이지 / 전적]
재미있고 즐겁게 놂.
오육삭(五六朔)[벽천가 44 페이지 / 전적]
오육개월.
오윤겸[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국재 오겸의 잘못
오윤겸(吳允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59~1636). 자는 여익(汝益). 호는 추탄(楸灘)ㆍ토당(土塘). 광해군 9년(1617)에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간 포로를 데리고 왔으며, 영의정을 지냈다. 저서에 ≪추탄집≫이 있다.
오음(梧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1 페이지 / 전적]
領相 尹斗壽를 말함.
오음(梧陰)[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4 페이지 / 전적]
윤두수(尹斗壽 : 1533, 중종 28 -1601, 선조34)의 호(號). 본관은 해평(海平). 1558년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정자(正字), 이조정랑(吏曹正郞), 이조(吏曹)․공조(工曹)․형조(刑曹)의 참의(參議)를 거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왕을 호위하였고 어영대장,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오음梧陰[ 1 페이지 / ]
무성하게 자란 오동나무의 녹음을 가리킴
오음니[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오음(五飮)이. 다섯 가지 음료. 물, 미음. 약주, 단술, 청주를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