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오삼계를 속이고서[대명복수가(명복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명말 청초의 무장(武將)인 오삼계가 유적 이자성이 베이징을 함락하고 귀순을 권하자 청나라의 중국 본토 진출을 도움. 중국 전토 평정에도 앞장서 3번 중 하나가 되었고 후에 ‘3번의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함.
오상(五常)[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①오륜(五倫). ②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가지 덕.
오상(五常)[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①오륜(五倫). ②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가지 덕.
오상(五常)[로인가 9 페이지 / 전적]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가지 덕.
오상(五常)[여행록이라(여녹이라) 27 페이지 / 전적]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가지 덕.
오상(五常)[나부가라(라부가라) 2 페이지 / 전적]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다섯 가지 덕.
오상(五常)을 실행한 효과[삼강오륜가 서 6 페이지 / 전적]
오상실행지효(五常實行之效).
오상초구(烏上楚軀)[초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오강 위의 초나라 사람.
오상화해(五上禍害)[자치가 27 페이지 / 전적]
『주역(周易)』에 나오는 말.
오색 돌로 하늘에 기웠도다[녁대가(녁가) 9 페이지 / 전적]
공공씨(共工氏)가 화가 나서 머리로 불주산(不周山)을 들이받아 하늘을 지탱하던 기둥이 무너지자, 여와씨가 오색의 돌을 단련해서 기울어진 하늘을 다시 기워서 하늘이 제대로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고 함.
오색(五色)[송강집(松江集一)1 169 페이지 / 전적]
다섯가지 색깔. 靑黃赤黑白. 書經 禹貢篇에「厥貢惟士五色」
오색(五色)[송강집(松江集二)2 98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대명궁(大明宮)을 봉래궁(蓬萊宮)이라 칭했고 천자(天子)에게는 항상 오색(五色)의 운기(雲氣)가 있다는 말이 있어 차용한 것임. 杜甫詩에「雲近蓬 萊常五色……」
오색(五色)장목[자치가 30 페이지 / 전적]
오색비단같은 꿩의 꽁지깃.
오색단장(五色丹粧)[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화려하게 화장을 하고 머리나 옷차림 따위를 매만져서 맵시 있게 꾸밈.
오색단장(五色丹粧)[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화려하게 화장을 하고 머리나 옷차림 따위를 매만져서 맵시 있게 꾸밈.
오색단장(五色端裝)[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가지 빛깔로 곱게 꾸밈.
오색단청(五色丹靑)[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오색(빨강, 노랑, 파랑, 하양, 검정)으로 그림이나 무늬를 그림.
오색단청(五色丹靑)[춘몽가(츈몽가)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청대 중기의 화가인 이선(李鱓).양주8괴 중 한 명.자는 송양(宗揚), 호는 복당(復堂), 오도인(懊道人), 목두로자(木頭老子).장쑤성 흥화 사람.강희 50년(1711)에 거인(擧人)됨.산둥성 등현 지사를 지냈으나 퇴관하고는 양주 남교(南郊)에 부구관을 세워서 그곳에 살며 금농, 정섭 등과 교제.궁정 화가인 장정석에게 사사받고 고기패(高期佩)에게도 배웠으나 명초 임량(林良)에게 사숙.분방한 필치의 수묵 · 당채로 꽃과 초목을 잘 그림.대표작은 『성남춘색도
오색단청(五色丹靑)[춘몽가(츈몽가) 12 페이지 / 전적]
파랑, 노랑, 빨강, 하양, 검정의 다섯 가지 색으로 칠한 단청.
오색당사(五色唐絲)[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3 페이지 / 전적]
갖가지 색의 명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