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남훈조(南薰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7 페이지 / 전적]
「南薰」― 舜의 五絃琴의 南風調를 말함. 見上.
남흔[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은.
남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남우세나. 남에게 우세나.
남나[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남우세나. 남에게 우세나.
남경물[셕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다른 경물(景物). 다른 경물. 남자의 경물. ‘경물’은 시절에 따라 달라지는 풍경.
남업난 조남[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 없는 조남매(遭男妹). 남에게 없는 남매의 만남.
남들은 장녹자 안니련가[형제붕우소회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들은 성장녹장(成長祿爵) 아니런가.
남못 니로[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못된 한(恨)이로다. 남자가 못된 한이로다.
남룩[셕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일수록.
남난일[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이 하는 일.
납극(蠟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2 페이지 / 전적]
「蠟屐」-밀칠을 한 나막신을 말함. 東晋사람 阮孚의 故事로 世說 雅量에 보이는대 『或人이 阮孚를 찾아가니 阮孚는 몸소 불을 불어 屐에 蠟을 칠하면서 인해 탄식하기를 「생전에 몇켤레의 蠟屐을 신게 될런지 모르겠다(未知一生 當著幾兩屐)』
납량(納涼)[ 1 페이지 / ]
서늘맞이, 땀들이.
납량納凉[ 1 페이지 / ]
더위 식힘. 여름철에 더위를 피하여 서늘한 것을 맛봄.
납뢰청촉(納賂請囑)[명륜가(明倫歌) 47 페이지 / 전적]
뇌물을 주어 청을 들어주길 부탁함.
납반(臘半)[사시풍경가라 18 페이지 / 전적]
음력 섣달의 중간.
납약(納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5 페이지 / 전적]
「納約自牅」- 易의 坎에 「納約自牅 終无咎」라 하였고, 程傳에「納約은 임금에게 나아가 결탁하는 道를 이름이요, 牅는 開通의 義가 있다.室이 어둡기 때문에 牅를 만들어 明을 通하자는 것이다.人心이 蔽하는 바가 있고 통하는 바가 있으니, 蔽하는 데는 暗處요 通하는 데는 明處이니, 마땅히 明處로 나아 가 告하며 信을 求하면 귀에 들어가게 하기가 쉽다.그러므로納約自牅라 이른 것이다」하였음.
납약자유(納約自牖)[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51 페이지 / 전적]
주역」감괘(坎卦) 육사효사(六四爻辭)로, 신하가 군주를 깨우칠 때에는 극진한 충성과 옳은 방법으로 군주의 마음을 유도하되, 반드시 군주가 잘 알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납월(臘月)[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섣달을 달리 이르는 말.
납월(臘月)[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섣달.
납월(臘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12월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