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납폐(納幣)[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 또는 그 예물.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납폐(納幣)[고분가 24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행동이나 또는 그 예물을 뜻한다.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납폐(納幣)[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 또는 그 예물.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납폐(納幣)[고분가 24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행동이나 또는 그 예물을 뜻한다.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납폐(納幣)[여행록이라(여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여섯 가지 의식절차인 육례(六禮) 중의 하나.납채 뒤 정혼(定婚)의 성립을 나타내기 위하여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서신과 폐물을 보내는 의식을 말함.

납폐친영(納幣親迎)[명륜가(明倫歌) 53 페이지 / 전적]

육례의 처음과 끝으로 납폐는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서지와 폐백을 함에 담아 보내는 일이고, 친영은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신부를 직접 맞음, 또는 그 의식을 말함.

납폐친영(納幣親迎)[충효가(忠孝歌) 15 페이지 / 전적]

폐물을 드려 친히 신부감을 맞이함. 예의를 갖춰 아내를 맞이함.

납향절(臘享節)[남여동락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납일(臘日)에 한 해 동안 지은 농사 형편과 그 밖의 일들을 여러 신에게 고하는 제사. 납제(臘祭). 납향제.

납향절(臘享節)[남여동락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납일(臘日)에 한 해 동안 지은 농사 형편과 그 밖의 일들을 여러 신에게 고하는 제사. 납제(臘祭). 납향제.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3 페이지 / 전적]

「錢鏄」―錢은 古代의 田器로 지금의 ∝이요 鏄은 호미임. 詩經 周頌 臣工에「庤乃錢鏄 奄觀銍艾」의 句가 있음.

낫꾸사꾸[용화출세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어원 <일본어 リックサック <독일어 Rücksack

낫질[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3 페이지 / 전적]

낫으로 나무나 풀 등을 베는 일.

낫철보니 길읍서[형제붕우소회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낯을보니 할길없어. 얼굴을 보니 할 길이 없어.

낫철시 보이[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낯을 다시 보자하니. 얼굴을 다시 보자하니.

낭개[시절가 25 페이지 / 전적]

‘나무’의 경상남도 방언.

낭군(郎君)[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3 페이지 / 전적]

새로 진사에 급제한 사람.또는 부인이 남편을 사랑스럽게 이르는 말.

낭군(郎君)[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8 페이지 / 전적]

젊은 아내가 자기(自己)의 남편(男便)을 정답게 이르는 말.

낭군(郎君)[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젊은 아내가 자기(自己)의 남편(男便)을 정답게 이르는 말.

낭랑(琅琅)[츅친서라 7 페이지 / 전적]

옥이 서로 부딪쳐 울리는 소리가 아주 맑다.

낭랑(朗朗)[의향소창가 23 페이지 / 전적]

소리가 매우 맑고 또랑또랑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